행정안전부는 가을 단풍철을 맞아 산행 시 실족이나 조난 등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단풍은 10월 초 설악산을 시작으로, 10월 중순 이후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단풍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3년(2021~2023)간 등산사고를 살펴보면, 10월에는 연중 가장 많은 3,445건의 등산사고(인명피해 1,370명)가 발생했다. 원인별로는 실족(8,188건, 32%)이 가장 많았고, 조난(6,871건, 26%),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질환(4,645건, 18%)이 그 뒤를 이었다.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1. 산행 전에는 등산 소요시간, 대피소 위치, 날씨 등 일정을 미리 확인한다. 2.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 몸에 무리가 느껴지면 즉시 하산한다. 3. 평소 산행 경험이 적은 경우 체력 관리에 주의하고, 출입이 통제된 위험·금지구역은 절대 들어가지 않는다. (국립공원공단 누리집에서 실시간 탐방로 통제정보 확인 가능) 4. 등산로를 벗어나 샛길 등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단독 산행보다는 가능하면 일행과 함께 동반 산행한다. 5. 길을 잃었을 경우 왔던 길을 따라 아는 지점까지 되돌
매년 새해가 오면 늦은 오후나 이른 새벽에 해넘이와 해맞이를 위해 해가 잘 보이는 높은 산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년간(2020~2021) 12월부터 1월까지 발생한 등산사고는 1,758건이며, 해맞이 산행을 하는 1월 1일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1월 1일 등반 사고 원인을 보면 실족이 37%로 가장 높았고, 바로 다음이 신체질환 28%, 조난 17%로 산행시 꼭 등산경로를 확인하고 랜턴을 반드시 지참한 후 저체온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난방장비와 기구를 꼭 갖추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