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 시선] 캐디선택제 확산 속에서 캐디의 전문성을 재정립하고 골프장 공정성을 확보할 제도 개혁 방향은 무엇인가?
캐디선택제 확산 속에서 캐디의 전문성을 재정립하고 골프장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개혁 방향은 '캐디 서비스의 구조적 전문화'와 '객관적 성과에 기반한 보상 체계 확립'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노캐디제 및 캐디 선택제의 확산은 캐디피 부담을 줄이려는 골퍼들의 요구와 캐디 부족 현상이 맞물린 결과이지만, 이는 경기 흐름 지체(평균 15~20분 지연), 안전사고 증가, 서비스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동시에 낳고 있습니다. 다음은 노캐디제 확산 추세 속에서 캐디의 전문성을 재정립하고 골프장 운영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제도 개혁 방향입니다. 1. 캐디 전문성 재정립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캐디를 단순한 '도우미'나 '카트 운전수'가 아닌, 경기의 흐름을 조율하고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가로 인정하고 육성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1) 획일적인 도제식 교육 탈피 및 NCS 기반 교육 체계화 캐디 교육은 여전히 선배 캐디가 신입 캐디를 눈치껏 가르치는 19세기 도제 방식에 머물러 있습니다. 골프장은 인력 부족만 탓할 뿐 신입 캐디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거나, 가르칠 인력도, 방법도, 의지도 없는 실정입니다.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