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손솔 의원실이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과 공동으로 실시한 '골프장 경기보조원 노동자 인권·안전 실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8.2%가 고객에게 성희롱 피해를, 97.8%가 반말이나 비하 발언 등 언어폭력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신체적 성추행 피해도 67.7%에 달하는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더 큰 문제는 피해를 사업주에게 알렸을 때 응답자의 73.2%가 '참으라'는 등의 부적절하거나 무대응 조치만 받았다는 점입니다. 사업주가 인권 침해 예방을 위해 아무 조치도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44.1%에 달해, 법적 제도와 현장 간의 괴리가 심각합니다. 또한 캐디 노동자들은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기 어려운 특수고용노동자 신분으로, '날아오는 공에 맞는 사고'(3.48점), '카트 미끄러짐 사고'(3.2점) 등 노후 시설로 인한 심각한 안전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습니다. 캐디 노동자를 폭언과 성희롱, 산업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문체부와 국회의 법적 보호 장치 마련이 시급합니다.
[골프앤포스트=구재회 기자] 술에 취해 골프를 치던 남성이 경기 진행을 돕는 캐디를 향해 폭언을 하고 무릎을 꿇게 한 일이 발생했다. 하지만 골프장 측에서는 캐디가 법에 보장된 노동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별다른 보호조치를 하지 않았다. 15일 SBS가 보도한 제보영상에 따르면 충남 공주의 한 골프장에서 경기를 돕는 캐디가 고객들을 향해 고개를 숙인 채 무릎을 꿇고 있다. 고객들은 화가 가시지 않는 듯 직원의 손목을 붙잡고 "내가 지금 이야기 하잖아"라며 폭언을 이어간다. 캐디가 경기 진행을 재촉해 즐거운 분위기를 망쳤다는 게 그 이유인데, 하지만 이들 고객은 술이 취한 채로 골프장에 왔고, 경기 중에도 술을 마셔 경기를 지연시켰던 것이다. 뒷팀이 기다려야 할 정도로 경기 진행이 밀리다 보니 캐디가 조심스럽게 경기를 빨리 진행해달라고 요청했던 것이 이런 사달을 촉발했다. 경기 보조요원은 "처음 오셨을 때부터 본인들이 소주 3병을 마시고 왔다고 말씀을 하셨다"며 "9홀 끝나고 그분들 모시러 갔을 때에도 테이블 위에 막걸리 3병이 있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10년 넘게 한 골프장에서만 일해온 베테랑 캐디는 이같은 봉변을 당해 병원에서 적응장애 진단까지 받았다고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