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 가문의 유산을 세계로 확장시킨 인물은 바로 윌리 파크 시니어의 아들, 윌리 파크 주니어(Willie Park Jr., 1864년 2월 4일 ~ 1925년 5월 22일)였다. 그는 아버지의 위대한 유산을 이어받아 디 오픈 챔피언십에서 2회 우승(1887, 1889)을 차지하며 당대 최고의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아버지처럼 뛰어난 퍼팅 실력으로 '퍼팅의 달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그의 플레이는 기술과 전략을 모두 갖춘 완벽한 골프로 평가받았다. 그의 1887년 우승은 스코틀랜드 프리스트윅에서 열린 대회로, 마지막 라운드에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어진 1889년 대회에서는 세인트앤드루스에서 열린 첫 번째 디 오픈이었는데, 그는 이 역사적인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모리스 가문의 홈 그라운드에서 파크 가문의 힘을 과시했다. 이 승리는 단순한 개인의 영광을 넘어, 파크 가문의 혁신적인 정신이 모리스 가문의 전통을 뛰어넘었음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하지만 윌리 파크 주니어의 진정한 위대함은 선수 생활을 넘어선 곳에 있었다. 그는 프로 골퍼 최초로 골프에 관한 전문 서적인 '더 게임 오브 골프(The Game of Go
윌리 파크 시니어에게는 그 못지않은 재능을 가진 동생 뭉고 파크(Mungo Park, 1836년 ~ 1904년)가 있었다. 뭉고는 형과 함께 머셀버러에서 골프를 시작했지만, 젊은 시절 선원으로 20여 년간 바다를 누비는 삶을 선택했다. 당시 스코틀랜드는 해상 무역이 활발했고, 많은 젊은이들이 더 넓은 세상을 보기 위해 선원이 되곤 했다. 뭉고 역시 모험을 선택했고, 그의 인생은 바다 위에서 수많은 폭풍우와 파도를 겪으며 다져졌다. 거친 바다 생활은 그에게 남다른 강인한 정신력과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길러주었다. 그러나 그의 마음속에는 늘 골프에 대한 열정이 살아 숨 쉬고 있었다. 긴 항해 생활을 마친 후 1874년, 고향 머셀버러로 돌아온 뭉고는 다시 골프 클럽을 잡았다. 당시 그의 나이 38세. 이미 쟁쟁한 젊은 선수들이 골프계를 주름잡고 있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를 잊었거나, 해맑게 웃는 얼굴 뒤에 숨겨진 그의 실력을 알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1874년 머셀버러에서 열린 디 오픈 챔피언십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무려 우승이라는 믿기 힘든 결과를 만들어냈다. 그의 우승은 모든 골프 팬들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다. 당시 디 오픈은 세인트앤드루
1860년 윌리 파크 시니어의 이름이 골프 역사에 영원히 각인된다. 그가 '골프의 아버지' 올드 톰 모리스와의 치열한 라이벌 구도 속에서 제1회 디 오픈 챔피언십의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기 때문이다. 당시 골프계는 두 사람의 자존심을 건 챌린지 매치(Challenge Match)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이 매치들은 단순한 시합이 아니라, 한 가문의 명예와 자존심이 걸린 거대한 드라마였다. 파크 가문의 홈 코스인 머셀버러와 모리스 가문의 세인트 앤드류스를 오가며 펼쳐진 이 매치들은 당대 최고의 흥행 카드였으며, '도박'이라는 흥미로운 요소와 함께 수많은 관중을 몰고 다니며 골프를 소수의 귀족 스포츠에서 대중적인 관람 스포츠로 바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의 대결은 단순한 기량 경쟁을 넘어, 플레이 스타일과 골프 철학의 충돌이었다. 파크는 모리스보다 훨씬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관중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그는 장거리 드라이브와 과감한 퍼팅을 즐겨했고, 이는 안정적이고 정교한 플레이를 선호했던 모리스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팬들에게 큰 볼거리를 제공했다. 1860년 10월 17일, 프레스트윅에서 열린 제1회 디 오픈 챔피언십은 골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순
윌리 파크 시니어(Willie Park Sr., 1833년 6월 30일 ~ 1903년 7월 25일)는 스코틀랜드 이스트 로디언의 월리포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농부이자 정원사였으며, 어머니는 가정을 돌보는 평범한 가정이었다. 당시 스코틀랜드는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었지만, 시골 마을의 삶은 여전히 녹록지 않았다. 어린 윌리는 정규 교육이나 체계적인 골프 훈련을 받기 어려운 가난한 환경에서 골프와 운명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그는 머셀버러의 링크스에서 캐디로 일하며 독학으로 골프를 익혔다. 머셀버러는 세인트앤드류스만큼 유명한 골프의 성지는 아니었지만, 1567년 메리 여왕이 골프를 친 기록이 남아 있고, 1672년 머셀버러 올드 코스가 만들어져서 가장 오래된 골프 코스 중 하나로 남아 있다. 1754년에 문을 연 세인트앤드루스 올드 코스가 가장 오랜된 골프장으로 기록되어 있다. 머셀버러에는 수많은 아마추어와 프로 골퍼들이 모여드는 활기찬 곳이었다. 윌리는 이곳에서 매일 골프를 보며 어깨너머로 기술을 익혔고, 선수들의 스윙을 흉내 내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만들어갔다. 그의 특별한 재능은 머셀버러의 '베이커스 홀스(Bakers’
골프의 역사는 수많은 전설과 그들을 둘러싼 드라마로 가득하다. 19세기 중반, 골프가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던 격동의 시기, 스코틀랜드에는 두 개의 거대한 골프 가문이 존재했다. 한쪽은 '골프의 성지'로 불리는 세인트앤드루스에서 굳건히 전통을 수호하던 '모리스 가문'이었고, 다른 한쪽은 그들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었지만,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하며 자신들만의 왕국을 건설한 머셀버러의 '파크 가문'이었다. 이번 연재는 바로 이 파크 가문의 위대한 역사를 조명하며, 초대 디 오픈 챔피언이라는 빛나는 타이틀을 거머쥔 윌리 파크 시니어(Willie Park Sr.)를 필두로, 그의 동생 뭉고 파크(Mungo Park), 그리고 아들 윌리 파크 주니어(Willie Park Jr.)가 어떻게 골프의 초기 역사를 주도하고 모리스 가문과 치열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골프를 오늘날의 모습으로 발전시켜 왔는지를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19세기 스코틀랜드의 골프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선 사회적, 문화적 현상이었다. 세인트앤드류스 로얄 앤 앤션트 골프 클럽(Royal and Ancient Golf Club)은 세계 최초라는 권위 아래 엄격한 규칙과 전통을 중시하는 보수적
영 톰 모리스의 삶은 비록 짧았지만, 그가 골프 역사에 남긴 발자취는 그 어떤 장대한 이야기보다 강렬하게 남아있다. 그의 천재성과 비극적인 운명은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린다. 그의 삶과 업적을 숫자로 풀어보면, 왜 그가 '골프의 첫 번째 슈퍼스타'이자 불멸의 전설로 불리는지 더욱 명확해진다. 1851년: 골프의 성지 세인트앤드루스에서 한 시대를 바꿀 신동, 영 톰 모리스가 태어난 해. 1875년: 그의 삶이 비극적으로 막을 내린 해. 그는 이 해 크리스마스, 24세의 꽃다운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24세: 골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 중 한 명이 생을 마감한 나이. 너무나 짧았기에 더욱 강렬하고 애틋하게 기억된다. 4회: 디 오픈 챔피언십 최다 우승 기록 중 하나이자, 그가 차지한 우승 횟수. (올드 톰 모리스, 윌리 파크 시니어, 제임스 브레이드도 4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지만, 그의 방식이 독보적이다.) 4연패: 1868년부터 1872년까지 디 오픈 챔피언십에서 기록한 전무후무한 연속 우승 횟수. (1871년 대회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그의 지배력을 보여주는 증거) 이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17세 5개월 8일
영 톰 모리스의 삶은 골프 코스 위에서는 눈부신 영광의 연속이었지만, 그라운드 밖에서는 한 젊은이의 고뇌와 비극이 깊게 드리워져 있었다. 특히 아버지 올드 톰 모리스와의 관계는 그의 삶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하고도 아픈 축이었다. 두 사람은 단순히 아버지와 아들을 넘어, 당대 최고의 골프 부자이자 스승과 제자, 그리고 동료이자 라이벌이었다. 함께 디 오픈의 영광을 나눴고, 챌린지 매치에서 한 팀을 이루며 골프 역사를 써 내려갔다. 그들의 유대감은 골프계의 전설로 통했다. 그러나 이처럼 단단했던 부자 관계에 균열이 가기 시작한 것은 영 톰의 '사랑' 때문이었다. 1874년, 영 톰은 마거릿 드루리(Margaret Drinnen)라는 여성과 결혼을 발표했다. 영 톰은 마거릿을 만난 후 빠르게 깊은 사랑에 빠져들었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으로, 그들은 만남 초기에 이미 육체적인 관계를 맺을 정도로 서로에게 강하게 이끌렸다. 하지만 마거릿에게는 복잡한 과거가 있었다. 그녀는 영 톰보다 연상이었을 뿐만 아니라, 과거의 관계에서 사생아를 낳았던 전력이 있었다. 비록 그 첫 아이는 태어난 지 몇 주 만에 세상을 떠났지만, 당시의 보수적인 사회는 물론 교회에서조차 '낙인찍히고
영 톰 모리스의 진정한 위대함은 단순히 압도적인 우승 기록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19세기 골프의 판도를 바꾼 '기술 혁신가'이자 '스타 플레이어'로서 현대 골프의 씨앗을 뿌린 선구자였다. 당시의 골프는 주로 신중한 플레이와 예측 가능한 샷이 주를 이루었으나, 영 톰은 이러한 보수적인 틀을 깨고 더욱 공격적이고 창의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선보이며 관중들을 열광시켰다. 그의 플레이는 단순히 힘을 과시하는 것을 넘어, 정교한 기술과 대담한 전략이 결합된 예술에 가까웠다. 영 톰의 혁신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그의 신체적 특징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는 아버지 올드 톰 모리스보다 큰 약 173cm(5피트 8인치)의 키에 단단하면서 강인한 체격, 특히 매우 강한 손목을 지녔다. 이러한 체형은 당시로서는 드물게 강력하고 유연한 스윙 아크를 만들어낼 수 있게 했으며, 이는 그의 파워풀한 드라이브 샷의 원동력이 되었다. 그의 젊고 건장한 육체는 단순히 공을 때리는 것을 넘어, 공에 다양한 스핀을 걸고 궤적을 조절하는 섬세한 기술을 구현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었다. 그가 발명하고 대중화시킨 가장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는 바로 '백스핀(Backspin)'이었다. 당시에
※본 기사는 본사와 제휴한 조세금융신문과 동일하게 게재한다. 라이벌 윌리 파크 시니어 1859년 스코틀랜드 골프계에 엄청난 사건이 발생한다. 바로 챔피언 골퍼 앨런이 영면에 들어간 것이다. 앨런은 세인트 앤드류스의 최고 골퍼이자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프로 골퍼, 최초의 챔피언 골퍼였다. 44살 비교적 어린 나이에 앨런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고, 스승이자 최고의 골프 파트너였던 앨런의 장례식에서 참석해서 직접 운구를 한다. 그의 죽음을 계기로 스코틀랜드 골프계는 그의 타이틀인 챔피언 골퍼를 이어받을 골퍼를 뽑게 되고, 제임스 오길비 페어리를 주축으로 디 오픈 챔피언쉽이 조직된다. 바로 디 오픈의 시작이다. ‘존경할 만한 캐디(respectable caddie)’로 알려진 프로 골프 8명이 영국과 스코틀랜드 골프 클럽을 대표해서 초청되었고, 우승자에게는 챔피언 벨트(Challenge Belt)가 수여되고, 3회 연속 우승자는 우승 벨트를 영구 소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12홀 프레스트윅 골프 클럽에서 3라운드 경쟁을 통해서 우승자를 뽑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최초의 디 오픈은 압도적으로 톰에게 유리한 경기였다. 그가 만든 코스 그리고 지난 10년간 관리해온 골
※본 기사는 본사와 제휴한 조세금융신문과 동일하게 게재한다. 톰의 아버지 존(John)은 방직공이다. 그래서 [그림1]과 같은 방직공의 집(Weaver’s Cottage)에서 태어났다, 톰이 태어난 곳을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빈센트 반 고호가 1884년에 그린 A Weaver’s Cottage를 참고하면 톰의 어려운 성장 환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집은 세인트 앤드류스 골프장 바로 근처였고, 세인트 앤드류스는 아주 가난한 동네였다. 과거의 영광만이 남아 아무도 찾지 않는 곳이지만, 골프장만이 과거 영광을 대변해 주고 있는 도시가 바로 세인트 앤드류스였다. 톰의 아버지 존은 마을에서 유명한 방직공이지만, 존의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골프장캐디를 했었고, 골퍼이기도 하다. 당시에 방직공은 아주 유망한 직업이었기 때문에 톰도 아버지를 따라 방직공이 되었을 수도 있었지만, 골프를 아주 어린 나이부터 자연스럽게 접해 온 톰에게 골프장이 놀이터이자, 골프 자체가 놀이였다. 세인트앤드류스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골프 클럽을 잡았고, 톰은 5살에 교육을 받기 시작했지만, 공부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고, 6살 무렵부터 골프를 치고 놀았다고 한다. 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