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은 예고 없이 멈춘다”… 급성심장정지, 근무환경 개선이 생명을 지킨다
질병관리청이 2025년 9월 18일 발표한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권고’는 매년 3만 건 이상 발생하는 심장정지 사고에 대해 직장 내 예방관리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한 조치다. 이번 발표는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병원 차경철 교수팀의 정책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과 근무 형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다. 1. 급성심장정지, 왜 위험한가? 급성심장정지는 심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멈추며 혈액순환이 중단되는 응급 상황으로 적절한 대처가 없을 경우 수 분 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013년 29,356건에서 2023년 33,586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 2. 주요 위험 요인 질환 발생 위험 증가율 (조정 승산비) 심부전 22.6배 심근경색 8.55배 부정맥 2.79배 뇌졸중 2.85배 당뇨병 1.63배 고혈압 1.55배 “이들 질환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 연구팀 3. 근무환경과의 연관성 - 야간·저녁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