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오는 8월 1일부터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위한 소비쿠폰 사업 지급 기준을 변경한다. 공공배달 활성화 소비쿠폰 사업 지급조건을 완화하겠다는 농림축산식품부 계획을 반영한 조치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경기도주식회사가 공동운영하는 배달특급은 내달 1일 금요일부터, 소비쿠폰 사업의 지급 기준을 종전 2만원 이상 3회 주문과 1인당 월 1회 지급에서, 2만원 이상 2회 주문으로 변경하고 쿠폰 발급 횟수도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농림부는 지난 6월 10일부터 외식업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와 소비자 혜택을 위해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쿠폰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번 기준완화로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혜택을 봄과 동시에 소상공인 영업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편,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경기지역화폐로 받을 경우 배달특급을 통한 주문이 가능하다. 또, 배달특급이 제공하는 지역화폐 5%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어 일석이조다. 이재준 경기도주식회사 대표이사는 “올해 다양한 협업과 이벤트를 통해 배달특급이 소비자와 소상공인의 상생은 물론 경기도 지역경제 활성화의 선봉장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배달특급은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행정안전부는 2025년 7월 14일(월)부터 ‘국민비서’를 통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정보를 시기별로 미리 안내하는 알림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원금액, 신청방법, 사용기한 등 주요 정보는 카카오톡·네이버·토스 등 17개 앱 또는 국민비서 누리집에서 사전 설정한 국민에게 맞춤형으로 제공된다. 국민비서 소비쿠폰 알림서비스란? 항목 내용 개시 시점 2025년 7월 14일(월) 주요 정보 지급금액, 신청기한, 사용방법, 이의신청 안내 등 이용 방법 국민비서 누리집(www.ips.go.kr) 또는 17개 앱에서 신청 수신 채널 카카오톡, 네이버, 토스, KB Pay, 신한 SOL 등 최초 신청 시 본인인증 후 수신앱·서비스 선택 → PUSH 알림 설정 필요 서비스 유형별 안내 시점 시기 내용 신청 전 신청 서비스 개시 예정일 안내
디지털 보안 당국은 7월 11일(금),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를 앞두고 정부·금융기관 등을 사칭한 결제 사기형 스미싱 문자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스미싱이란? 문자 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링크 클릭 시, 개인정보·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사이버 사기 수법이다. 예시) [소비쿠폰 지급안내] 신청 대상자 확인! (https://urrl.kr/2bx…) ☞ 인터넷주소(URL) 클릭 즉시 앱설치·해킹·개인정보 탈취 위험 정부의 핵심 경고 메시지 내용 설명 URL 포함 문자 = 사기 정부·금융기관·카드사 등은 문자에 인터넷 주소(URL) 포함해 발송하지 않음 국민비서 이용 권장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17개 플랫폼의 사전 안내 서비스로 정보 확인 가능 디지털 취약계층 안내 병행 어르신 대상 주민센터·은행 통한 오프라인 신청 시 스미싱 주의 안내 실시
정읍시가 위메프오를 통해 공공배달앱 소비쿠폰 지원사업을 본격 시행하며 외식업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이번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해 지난 10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는 정책으로, 공공배달앱 활성화와 소비 진작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다. 위메프오는 중개수수료가 약 2%로 민간배달앱의 2∼9.7%에 비해 훨씬 낮다. 이에 따라 가맹점주에게 실질적인 수익을 돌려주는 친소상공인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번 소비쿠폰 정책의 중심 채널로 활용된다. 지원 방식은 간단하다.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 등에서 위메프오로 2만원 이상 주문을 세 차례 완료한 소비자는 다음 달 10일쯤 1만원 상당의 소비쿠폰을 자동으로 발급받는다. 1인당 월 1회에 한해 혜택이 주어지며, 쿠폰은 다시 2만원 이상 주문 시 사용 가능하다. 이번 사업은 6월 1일부터의 이용 내역도 소급 적용되며, 매월 최대 3회까지의 결제 실적만 인정된다. 이 중 실적이 미달된 경우에는 다음 달로 이월돼 누적 실적으로 인정되지만, 3회를 초과한 주문은 이월되지 않는다. 기준 금액은 메뉴와 배달 대행료를 포함한 총액이며, 앱 내 할인쿠폰이나 포인트는 제외한 금액으로 판단한다. 시는 소비쿠폰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