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12일(수) 오후 2시 충북도청 영상회의실에서 ‘도내 대학 국제교류부서 유학생 정책 협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도내 14개 대학의 국제교류원장 및 실무진과 함께 그간 K-유학생 제도 추진 상황에 대한 점검과 함께 향후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충북도 유학생 정책에 대한 공유와 의견 수렴 등 ‘도-대학’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충북도는 앞으로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과 연계해 우수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는 물론 지역 산업과 연계한 일·학습 병행을 통해 충북에 취업·정주 하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에 앞서 충북의 특성에 맞게 설계, 법무부에 제출한 비자 설계안을 지역대학과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유학생들의 정착 지원프로그램, 일학습병행 안전교육, 외국인 유학생 전용 플랫폼 구축, 유학생 취업박람회 등 도에서 추진하는 유학생 지원사업의 세부 추진계획과 협력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됐다. 박선희 충북도 외국인정책추진단장은 “최근 10년간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정책의 초점이 과거 결혼이주여성에서 외국인 유학생, 근로자, 재외동포 등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되고 있고, 외국인 정책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 충청북도(도지사 김영환)와 함께 10월 31일(목) 충북대에서 ‘충청북도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를 개최한다. 교육부는 지난해 8월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을 수립하였고, 이후 정부와 지자체‧대학의 유치 노력 등의 결과로 국내 유학생이 증가하여 2024년 기준 약 20만 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국내에서 공부하고 있다.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주요 내용으로 ‘2027년까지 30만 유학생 유치, 세계 10대 유학강국 도약’ 목표, 대학-지역기업-지자체가 함께 유치부터 학업, 취업‧정주까지 단계별 전략 수립하는 것이다. 또한, 중기부는 인구감소 등에 따른 지방소멸을 극복하고 지역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중소기업의 유학생 채용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다양한 정책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는 교육부와 중기부가 협업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지역 내 기업 취업과 정주를 돕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추진된 사업이다. 본 박람회에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 체계(RISE)를 시범 운영하는 5개 지자체가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