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중국 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한국 드라마 ‘북극성’의 한 장면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배우 전지현이 연기한 인물이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고 말하는 장면이 편집돼 유포되며, 중국 내 반한감정이 재점화되고 있다. 이는 최근 영화 ‘731’을 통해 고조된 반일감정이 한국 콘텐츠로까지 번지며 감정의 전이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된다. 1. 감정의 흐름: 반일 → 반한 시기 사건 감정 2025년 8월 영화 ‘731’ 개봉 반일감정 고조 2025년 9월 ‘북극성’ 대사 논란 반한감정 확산 2020년 코로나19 초기 한국인 입국 제한·혐오 반한감정 일시적 고조 2017년 사드 배치 갈등 반한감정 구조적 심화 “중국 내 반한감정은 외교·보건·문화 이슈가 겹칠 때마다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정서적 반응입니다.” 2. ‘한한령’의 역사와 현재 ‘한한령(限韓令)’은 2016년 한국의 사드(THAAD) 배치 결정 이후 중국 정부가 비공식적으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유통을 제한한 조치다. 이후 한국 드라마·영화·K-
최근 중국에서 일본의 731부대 만행을 다룬 영화 '731'이 개봉과 동시에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개봉 당일 예매자 수가 무려 2억 명을 기록하며 중국 내에서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한 중국 내 반일감정이 최고조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분석됩니다. 스크린 넘어 현실이 된 반일감정 영화 '731'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 육군의 비밀 생물학전 연구 및 개발 부대였던 731부대의 만행을 다룹니다. 이 부대는 중국 하얼빈에 주둔하며 포로들을 대상으로 세균전 실험을 비롯한 각종 비인도적인 생체실험, 이른바 '마루타' 실험을 자행했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잔혹한 역사를 재조명하며 피해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스크린에 담아냈습니다. 영화의 흥행은 단순한 상업적 성공을 넘어섭니다. 중국의 많은 관객들이 영화를 보며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 있으며, 이는 강력한 반일정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영화가 과거의 아픔을 소환하고, 현재 진행형인 역사 갈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국에서도 과거 이 731부대의 생체실험을 다룬 영화들이 제작되어 우리 민족이 겪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