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자 골프 국가대항전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이 오늘(23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뉴코리아CC(파72, 6542야드)에서 펼쳐진다. 총상금 200만 달러(약 28억 원)의 이 대회에서 한국 대표팀이 안방에서 5년 만의 정상 탈환에 나선다. 포씨유 취재팀이 대회 개막을 앞두고 현장 분위기와 팀별 전력, 경기 형식 등을 집중 조명했다.
대회 개요: 5회째 국가 대결, 올해는 '월드팀' 신설
2014년 LPGA가 창설한 이 비엔날 대회는 선수 4명씩으로 구성된 팀이 매치플레이로 맞붙는 국가대항전이다. 초대 챔피언은 스페인(2014), 2016년 미국, 2018년 한국(홈 대회), 2023년 태국이 차지했다. 한국은 2018년 인천 송도 잭니클라우스GC에서 우승한 뒤 2023년 4강 탈락의 아픔을 겪었지만, 이번에 7년 만의 한국 개최로 재도전한다.
올해는 기존 8개국에서 7개국(한국·미국·일본·호주·태국·스웨덴·중국)으로 축소하고, 세계랭킹 기준으로 선발된 '월드팀'(아메리카·유럽/중동·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 각 1명)을 신설해 총 8팀(32명)이 출전한다. 우승팀에는 상금 50만 달러(약 7억 1,000만 원)가 주어지며, LPGA 랭킹 포인트도 대거 배분된다.
경기 형식은 조별리그(포볼 방식, 2인 1조가 각자 공 치며 좋은 스코어 채택)와 토너먼트(준결승·결승: 포섬 매치플레이 1경기 + 싱글 매치플레이 2경기)로 진행. 승점 2점 선취 팀이 승리하며, 각 경기 승리 시 1점, 무승부 0.5점이다. A조(미국·호주·태국·중국), B조(한국·일본·스웨덴·월드팀)로 나뉘어 상위 2팀이 준결승 진출한다.
한국팀: 김효주 리더십 앞세워 '홈 어드밴티지' 노린다
한국 대표는 김효주(세계랭킹 8위), 고진영(세계랭킹 22위), 유해란(세계랭킹 14위), 최혜진(세계랭킹 21위)으로 구성됐다. 김효주는 지난 5월 같은 뉴코리아CC에서 LET 아람코 챔피언십 우승으로 코스 적응력이 입증됐으며, 유해란과 최혜진은 젊은 피로 팀 에너지를 책임진다.
B조 일정: 23일 스웨덴, 24일 월드팀, 25일 일본. 조별리그 통과가 관건이다. 대한골프협회 관계자는 "안방 팬들의 응원이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우승 의지를 밝혔다.
경쟁팀 전력: 태국 2연패 도전, 호주 메이저 듀오 앞세워
- 태국 (디펜딩 챔피언): 세계 1위 지노 티띠꾼(올 시즌 LPGA 2승)이 이끌며 2연패를 노린다. 파자리 아난나루칸(세계랭킹 85위), 재스민 수완나뿌라(세계랭킹 141위), 차네티 와나사엔(세계랭킹 45위)
- 미국: 세계 2위 넬리 코다 부상으로 노예림(세계랭킹 28위)이 대타 출전. 에인절 인(세계랭킹 10위), 로런 코글린(세계랭킹 16위), 릴리아 부(세계랭킹 33위)와 함께 강력하다.
- 호주: 메이저 우승자 이민지(세계랭킹 3위,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우승)와 그래이스 김(세계랭킹 26위, 에비앙 챔피언십)이 쌍포. 한나 그린(세계랭킹 18위), 스테파니 키리아쿠(세계랭킹 41위)
- 일본: 올 LPGA 5승(한국 6승에 이은 2위)으로 상승세. 야마시타 미유(세계랭킹 6위), 사이고 마오(세계랭킹 9위), 다케다 리오(세계랭킹 12위), 후루에 아야카(세계랭킹 23위) 출전.
- 스웨덴: 마자 스탁(세계랭킹 15위), 마델린 삭스트롬(세계랭킹 40위), 린 그랜트(세계랭킹 52위), 인그리드 린드블래드(세계랭킹 50위)
- 중국: 루오닝 인(세계랭킹 7위), 얀 리우(세계랭킹 104위), 웨이웨이 장(세계랭킹 117위), 루이신 리우(세계랭킹 120위)
- 월드팀: 세계 4위 리디아 고(뉴질랜드)가 찰리 헐(세계랭킹 5위), 브룩 헨더슨(세계랭킹 25위), 슈웨이링(세계랭킹 96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