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스포츠 콘텐츠 기술 선두 기업인 WSC Sports가 지난 11월 14일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25 스포츠산업 컨퍼런스'에서 AI 기반 스포츠의 미래를 제시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스포츠과학원 주관으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스포츠산업 AI기반 R&D 혁신과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 전략'을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WSC Sports를 포함해 트웰브랩스, 스탯스퍼폼 등 AI 관련 주요 기업들이 발표에 참여하며 스포츠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AI 활용 전략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이어갔습니다.
AI로 진화하는 '차세대 스포츠 스토리텔링'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WSC Sports의 가이 포트(Guy Port) 아시아 총괄은 '차세대 스포츠 스토리텔링의 진화'를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그는 디지털 시대에 스포츠 콘텐츠가 단순한 경기 중계를 넘어, AI를 통해 팬 참여 중심의 경험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 팬 참여 극대화: WSC Sports는 AI 기반 자동화 플랫폼을 통해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 개인화된 클립 추천, 인터랙티브 콘텐츠 구현 등을 선보였습니다. 실제 AI 도입 후 콘텐츠 성과가 최대 4.9배 향상된 사례도 공유했습니다.
- 숏폼 트렌드 반영: 재생 시간이 짧아지고 세로형 콘텐츠 선호도가 증가하는 숏폼 트렌드를 짚으며, AI가 이러한 팬 경험 변화에 필수적인 도구임을 강조했습니다.
- 새로운 도구로서의 AI: 가이 포트 총괄은 "AI는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넘어, 팬의 감정과 참여, 경험을 연결하는 새로운 스토리텔링 도구"라고 역설했습니다.
손흥민, MLS 사례로 본 AI의 글로벌 확장성
특히 한국 팬들의 이목을 끈 것은 AI를 활용한 글로벌 스포츠 리그의 변화 사례였습니다. WSC Sports 솔루션을 도입한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는 손흥민과 같은 글로벌 스타 선수의 경기 주요 장면을 득점 발생 후 2~3분 내 자동으로 하이라이트 제작해 공식 SNS 채널에 신속히 업로드함으로써 팬 참여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리그 감독 및 선수들의 인터뷰 콘텐츠를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로 자연스럽게 더빙하거나 생성형 AI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젊은 세대 신규 팬을 확보하는 사례도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는 AI 기술이 단순히 콘텐츠를 번역하는 것을 넘어, 몰입도 높은 경험을 제공하고 글로벌 팬덤 규모와 시장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