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시즌 총 9회 우승(PGA투어 7승, 파리 올림픽 금메달, 페덱스컵 우승)을 차지한 세계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미국)가 세 시즌 연속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됐다. PGA 투어는 11일(한국시각) “셰플러가 2024시즌 PGA 투어 올해의 선수로 선정돼 잭 니클라우스 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PGA 투어 올해의 선수상을 3회 이상 수상한 선수는 타이거 우즈(11회), 로리 매킬로이(3회) 그리고 셰플러(3회)가 되었다. 우즈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연속 수상에 이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다시 3년 연속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셰플러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면서 이 기록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단 두명의 선수만 기록했다. 셰플러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4일까지 PGA 투어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 결과 91%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올 해의 선수가 되었다. 2024시즌 셰플러의 골프 통계 기록을 보면, 스트로크 게인드(SG) 전체에서 측정된 62라운드에서 총 154.71로 평균 2.496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평균 스코어는 75라운드에서 총 5,101 스
남자골프세계랭킹 상위 15위 순위 추이 국가 선수 평균포인트 합계 출전한 대회 1 - 미국 스코티 셰플러 16.4965 692.72819 42 2 - 미국 잰더 쇼플리 9.7198 417.95063 43 3 - 북아일랜드 로리 매킬로이 8.1105 381.19431 47 4 - 미국 콜린 모리가와 5.7216 251.75042 44 5 - 스웨덴 루드비그 오베리 5.5818 223.27381 39 6 - 미국 윈덤 클락 4.9750 228.84956 46 7 - 일본 히데끼 마쯔야마 4.9611 223.25000 45 8 - 노르웨이 빅터 호블란 4.6961 187.84304 40 9 - 영국 토미 플릿우드 3.9993 207.96516 52 10 - 미국 브라이슨 디섐보 3.9413 157.65353 9
[캐디실무교육]은 신입캐디가 어떤 교육을 받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다. 지난 5년간 신입캐디 교육을 실시하면서 만들어 낸 체계화된 내용을 담을 예정이며, 캐디자격증 시험에 들어가는 이론과 실무에 바탕이 되는 내용이다. 정부가 NCS 캐디직무교육을 만들었다면, (주)포씨유는 캐디실무교육을 만들었다. 이 연재를 통해서 캐디가 쉽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많은 노력을 통해서 만들어진다는 시실을 누구나 알았으면 한다. 연재 순서 1부 캐디와 골프 상식 - 기초1단계: 캐디가 알아야 하는 골프 상식 - 기초2단계: 캐디만 아는 골프 상식 2부 실전 캐디되기 - 실습 1단계: 캐디 업무 몸으로 익히기 - 실습 2단계: 거리 불러주기 - 실습 3단계: 클럽 매칭 - 실습 4단계: 클럽 서브 - 실습 5단계: 경기 진행 - 실습 6단계: 그린 서브와 스코어 계산하기 3부 캐디와 골프 통계 실습 2단계: 거리 불러주기 학습 목표 1. 클럽 매칭 - 플레이어 클럽 구분해서 분류하기 - 전반 3홀 이내, 플레이어 클럽 매칭과 비거리 파악
고용노동부는 첨단 기술 발전과 산업현장의 변화를 반영해 2024년에 신규 개발한 7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과 개선·보완한 105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12월 4일(수) 확정·고시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자격과 기업의 직무 중심 인사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신규 개발된 7개 NCS 올해는 첨단 기술 발전에 따라 인력 수요가 늘고 있는 '소프트웨어(SW) 공급망 보안', '데이터 거래관리' 등과 미래유망 분야의 '의약품 임상시험', '자원봉사관리' 등 총 7개 직무를 국가직무능력표준으로 개발했다. 특히 올해는 관계부처의 개발 제안을 바탕으로 관련 협회·단체 등 산업계와 유기적으로 협업하여 현장성을 높였다. 개발 제안에는 자원봉사관리(행정안전부), 의약품 임상시험(보건복지부), 건설기계 성능검사(국토교통부), 정보보호제품 시험·평가, SW 공급망 보안, 모빌리티 보안(이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포함되었다. 기존 105개 NC
국가기록원은 12월 4일(수)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에서 '대한민국 국가기록원과 베트남 국가기록원 간의 기록관리 분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이용철 대한민국 국가기록원장과 당 탄 퉁(Dang Thanh Tung) 베트남 국가기록원장, 베트남 국가기록원 정책 담당자 등 양국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베트남 국가기록원은 '한-베트남 종이기록물 보존·복원 업무협약' 종료(2007년~2012년) 이후, 대한민국의 우수한 디지털 기록관리 기술을 전수받고자 업무협약을 요청해 왔다. 특히, 대한민국의 공공기록물 디지털 전환과 국가기록원의 신속한 기록 관리체계 구축·적용에 많은 관심을 보여 여러 차례 '국제 기록관리 교육연수 과정'에 참여한 바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베트남 정부의 요청사항을 반영해 최신 트렌드 디지털 기록관리체계와 기술 교류 중심으로 △양국 간 주요 기록물 정보 공유, △기록관리 전문가 교류, △출판·연구·교육·전시 등 신규 협력사업 발굴·추진 등이 주요 내용이다. 국가기록원은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중 하나인 베트남과의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동남아 지역에 기록물의 디지털화, 공공서비스의 대국민 서비스 등 대한민국의 우수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이하 관광공사)와 함께 12월 3일, 태국 방콕에서 해외 관광기업지원센터(KTSC, Korea Tourism Startup Center, 이하 방콕 관광기업지원센터)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해외 관광기업지원센터'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관광벤처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시설이다. 이번 방콕 관광기업지원센터는 싱가포르(2022년 8월 개소)와 일본 도쿄(2023년 12월 개소)에 이어 세 번째로 문을 여는 지원센터다. 현재 싱가포르와 도쿄의 관광기업지원센터에는 각각 11개사와 15개사가 입주해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관광기업과 해외 사업 392건의 연결을 지원했다.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관광기업을 대상으로 한 해외 진출 수요조사 결과와 태국 관광산업 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해 방콕 관광기업지원센터 개소를 결정했다. 이번에 개소하는 방콕 관광기업지원센터에는 데이터 로밍, 이동수단(모빌리티), 숙박업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등 혁신 기술을 접목한 관광벤처기업 8개사가 입주할 예정이다. 입주 기업에게는 사무공간뿐만 아니라 현지 투자유치와 홍보마케팅, 세무·법무 상담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법무부는 2024년 9월 26일 발표한 새로운 출입국‧이민정책의 후속 조치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체류 비자를 통해 외국인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2025년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2024년 12월 광역지자체 공모를 시작으로, 내년 3월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를 선정해 2026년까지 2년간 운영된다. 광역형 비자는 각 광역지자체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설계한 비자제도를 통해 지역의 경제·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유학 비자(D-2)와 특정활동 비자(E-7)가 대상이다. 시범사업은 선정된 지자체가 추천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법무부가 비자를 심사·발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광역형 비자 심의위원회는 법무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며, 관련 부처 실무자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다. 심의위원회는 사업 대상 지자체 선정, 사업 계획 조정 및 확정, 연도별 사업 평가 등을 심의한다. 법무부는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연도별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며, 각 지자체의 외국인 사회통합 정책, 쿼터 충원율, 사회통합정책 참여율, 불법체류율, 지역 내 외국인 구성 비율
서울 양재 일대가 지역특화발전특구 최초의 ‘AI 특구’로 지정되면서, 서울시가 이 지역을 글로벌 AI 선도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1월 28일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에서 ‘양재 AI 미래융합혁신특구’에 대한 심의가 통과됐다고 밝혔다. 지역특화발전특구는 기초자치단체가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특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필요로 하는 규제 특례가 적용되는 구역이다. 양재 일대는 삼성전자, 현대, LG, KT 등 대기업 연구소와 300여 개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가 모여 있는 지역으로, AI 산업 육성을 위한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시는 AI 산업 지원시설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서울 AI 허브’를 지난 5월 개관했다. 이 허브는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을 전문으로 하며, 산·학·연 역량을 한데 모아 AI 생태계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난 10월 서울 AI 허브에 개소한 ‘국가 AI 연구거점’은 AI 기술혁신과 기업 성장,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며 인공지능 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신규 지정된 ‘양재 AI
골프장 이용객의 불만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골프장 민원은 월 27.8건으로 2023년 24.3건, 2021년 21.8건에 비해 민원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민권익위는 골프가 대중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골프장 예약과 이용에 부담과 불편이 있다며 민원이 지속됨에 따라 관련 민원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최근 3년간(2021년 7월~2024년 6월)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골프장 관련 민원(예약, 음식, 이용불만)은 총 884건이며, 민원정보분석시스템은 국민신문고, 지방자치단체 민원창구 등에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기 위한 국민권익위의 범정부 분석시스템이다. 민원 신청인은 남성이 84.2%, 여성이 15.8%를 차지했고, 나이대별로는 40대에서 60대까지 각각 2~30% 수준으로 전체 민원의 대부분(81.5%)을 차지했다. 민원유형별로 보면 골프장 예약/해지 관련 민원(46.5%, 411건)이 가장 많고, 대중골프장의 이용 질서 미준수 등 이용 불공정(41.9%, 370건), 음식물 관련 민원(3.5%, 31건) 등으로 나타났다. ‘골프장
KT가 29일부터 12월 4일까지 서울 종로구 서촌 미앤갤러리에서 신진 작가 그룹 'Y아티스트' 레이블의 첫 합동 전시회를 연다. Y아티스트 프로젝트 배경 KT의 20대 브랜드 'Y'는 청년 아티스트들을 지원하는 'Y아티스트 프로젝트'를 통해 총 34명의 신진 아티스트를 발굴했다. 이들은 기업 제품 디자인, 드라마 일러스트 제작, 캘린더 일러스트 제작 등 다양한 콜라보 활동을 통해 활발히 활동 중이다. 전시회 개요 이번 전시회는 KT의 Y아티스트 레이블 운영 취지와 Y아티스트들의 활동을 소개하고, 작가들의 작품을 대중에게 선보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전시는 '있는 그대로 빛나는 Y'라는 브랜드 슬로건에서 착안한 'Spotlight'를 주제로, Y아티스트의 독창적인 일러스트 작품 34종과 다양한 굿즈를 선보인다. 전시 기간 및 관람 안내 전시는 12월 4일까지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방문 시 Y아티스트 일러스트 기념 엽서와 스티커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작가 및 관계자 소감 Y아티스트 '한지수'(한페이지) 작가는 "세상에 나설 준비는 됐지만 스포트라이트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 많았다"며, "Y아티스트 레이블 활동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