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골프재단과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센터가 공동으로 '2024 한국 골프산업 백서'를 발간했다. 2016년부터 2년 주기로 발행되는 이 백서는 2022~2023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필드 골프, 스크린 골프, 용품, 시설, 유통 등 골프 관련 산업 전반의 시장 규모와 동향을 분석했다. 골프 인구는 700만 명을 초과하며, 시장 규모는 사상 최대인 22조 4,333억 원으로 성장했다. 김영찬 유원골프재단 이사장은 "이번 백서는 시장 규모 변화뿐만 아니라 소비자 이용 행태와 산업 구조 다변화를 포괄적으로 반영했다"며 "국내 골프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백서는 전자책 형태로 유원골프재단 홈페이지에서 무료 열람 가능하다. 2023년 골프 시장 규모: 본원 36.4%, 파생 63.6% 스포츠시장가치망(SMVN) 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따르면, 2023년 골프 시장 총 규모는 22조 4,333억 원으로 집계됐다. 본원시장은 8조 1,747억 원(36.4%), 파생시장은 14조 2,587억 원(63.6%)을 차지했다. 본원시장은 직접 참여 소비(라운딩, 연습장 이용 등), 파생시장은 용품, 관광, 시설 개발 등 간접 소비를 의
(사)한국골프장경영협회(회장 박창열)에서 골프장 내장객(조사대상 6홀 이상 골프장)을 조사했다. 2020년 501개 골프장 내장객은 총 46,736,741만 명에서 2021년 505개 골프장 내장객은 총 50,566,536만명으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다. 골프 신규 입문자 65%가 20~40대 이며, 2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 여성 유입이 남성보다 많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MZ 세대와 여성 골퍼가 대거유입 되면서 골프가 SNS를 통해 개성 표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네이버 검색수를 조사해보면, 20일 기준 '골프'는 월간 약 10만건인 반면 '여성골프웨어'가 월간 24만건으로 2배 이상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유통업계는 이러한 트렌드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며 MZ 세대와 여성 골퍼를 타깃으로 한 골프웨어 브랜드를 발굴하고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KB금융지주 조사에 따르면, 22년도 골프웨어 시장 규모는 20년도대비 11.4% 증가한, 6조 3,000억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골프 시장에 신규로 영입되고 있는 MZ 세대와 여성들을 타깃으로 한 패션과 골프웨어가 합쳐진 개념으로 패션업계가 변화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