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에비앙레뱅(파 71)에서 열린 2025 LPGA 시즌 네 번째 메이저 대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총상금 8백만 달러)이 극적인 연장전 승부로 막을 내렸다. 호주의 그레이스 김이 태국의 지노 티띠쿤을 2차 연장에서 이글로 제압하며 생애 첫 메이저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최종 결과 요약 순위 선수 최종합계 주요 기록 1위 그레이스 김 (호주) -14 (270타) 연장 두 번째 홀 이글로 우승 2위 지노 티띠쿤 (태국) -14 (270타) 연장 두 번째 홀 버디 공동 3위 로티 워드 (잉글랜드·A), 이민지 (호주) -13 (271타) 아마추어 돌풍 & 시즌 2번째 톱3 공동 14위 이소미, 최혜진 -8 (276타) 톱10 진입 실패 연장전 명장면: 1차 연장에서 그레이스 김이 물에 빠
프랑스 에비앙레뱅에서 열리고 있는 LPGA 시즌 네 번째 메이저 대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에서 한국 선수들이 우승 경쟁의 중심에 섰다. 이소미, 생애 첫 메이저 우승 향해 단독 선두 질주 이소미는 2라운드에서 9번홀에서 이글을 기록하며 버디 6개, 보기 2개를 묶어 6언더파 65타, 중간합계: 10언더파 132타로 단독 1위에 올라섰다. 드라이버 평균거리 267야드, 페어웨이 안착률 13개중 11개 84.6%, 퍼트수 28개, 샌드 세이브가 2개중 2개를 기록하면서 위기 탈출 능력을 보여줬다. 이소미는 지난달 다우 챔피언십에서 임진희와 함께 LPGA 첫 승을 거둔 데 이어, 이번 대회에서 2주 연속 우승이자 생애 첫 메이저 타이틀을 노리고 있다. 특히 스폰서 없이 홀로서기 중인 이소미의 선두 질주는 더욱 인상적이다. “퍼팅에 집중하며 리듬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우승은 잊고 오늘에 집중했다.” – 이소미 최혜진, 꾸준함의 힘으로 공동 4위 도약 2라운드에서 버디 5개, 보기 2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 중간합계 7언더파 135타로 공동 4위로 올라섰다. 올 시즌 앞선 3개 메이저 대회에서 모두 톱10에 든 최혜진은 이번 대회에서도 강한 메이저 체질을 입
프랑스 에비앙레뱅에서 열리는 여자골프 시즌 네 번째 메이저 대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이 11일(한국시간) 막을 올렸다. 총상금 800만 달러(약 110억 원)가 걸린 이번 대회는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총출동한 가운데, 한국 선수들도 강세를 보이며 첫날부터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여자골프 메이저 대회란? 여자골프에는 총 5개의 메이저 대회가 있다. 이들은 LPGA 투어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우승 시 세계랭킹 포인트와 투어 시드, 명예까지 얻을 수 있다. 대회명 개최 시기 특징 셰브론 챔피언십 4월 시즌 첫 메이저, 전통의 ‘포피의 연못’ 다이빙 세리머니 US 여자오픈 6월 가장 오래된 메이저, 최고 상금 규모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6월 PGA와 공동 주최, 코스 난이도 높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 7월 유럽 유일의 메이저, 산악 코스 AIG 여자오
1994년에 설립된 5번째 LPGA 메이저 대회가 된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The Amundi Evian Championship)이 7월 11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에비안 리조트 골프 클럽(파71, 6523야드)에서 열린다. 총상금은 8백만 달러다. 1994년 설립 당시에는 레이디스 유럽 투어(Ladies European Tour)의 두 개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인 에비앙 마스터스로 시작했지만, 2000년부터 상금을 대폭 증가시키면서 LPGA 투어 대회가 되었다. 2013년부터 에비앙 챔피언십으로 바꾸면서 LPGA 다섯번째 메이저 대회로 거듭났다. 대회 코스는 1994년부터 계속해서 에비앙 리조트 골프 클럽에서 개최했으며, 2020년 코비드 19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어 올 해로 30회째 대회가 열린다. 2023년 프랑스인 최초로 셀린 부티에(Celine BNoutier)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국선수로는 2019년 고진영, 2016년 전인비, 2014년 김효주가 우승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