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나이에 따라 소화력 달라진다… 맞춤형 사료 개발 본격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반려견의 나이에 따라 영양소 소화능력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비글 자견(8~10개월), 성견(3~4세), 노령견(10~11세)을 대상으로 한 비교 분석에서 성장기 어린 반려견은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이 낮게 나타난 반면, 노령견은 성견과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연구 결과 - 자견 소화율: 단백질 소화율 89.6% → 성견(91.7%)보다 낮음 - 필수 아미노산: 라이신, 이소류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등 일부 항목에서 자견 소화율이 낮음 - 노령견 소화율: 성견과 유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음 → 성견 기준 적용 가능성 확인 결론: 성장기에는 소화기관 발달이 미흡해 영양소 이용률이 떨어질 수 있어, 흡수가 잘 되는 형태의 사료 설계가 필요하다. 맞춤형 사료 시장 확대 - 어린 반려견용 건식 사료 시장: 2018년 6.0% → 2023년 10.5% - 노령견용 사료 시장: 2018년 12.7% → 2023년 16.5% - 맞춤형 펫푸드 수요 꾸준히 증가, 연구 결과가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 포씨유 시선 “반려견도 사람처럼 생애주기에 따라 영양 설계가 달라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