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시장 다변화 전략, 신흥 잠재시장에서 빛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추진한 방한시장 다변화 전략이 신흥 잠재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전략은 기존의 주요 관광객 유입국 외에도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방한 관광객 수를 증가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부정책의 성공 요인 정부는 방한시장 다변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첫째, 한국관광공사는 스웨덴,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10개국에 한국관광 홍보지점을 신설하여 방한 신규 시장을 개척했다. 이들 국가는 한류에 대한 관심도와 항공편, 배후 인구 등을 고려하여 방한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직항 항공편 유무와 현지 여행업계 및 소비자의 관심사를 고려한 특화사업을 전개했다. 예를 들어, 캐나다 웨스트젯 항공사와 온라인 방한 프로모션을 추진하고, 뉴질랜드 오클랜드-인천 노선 재개를 계기로 스키여행 상품 개발 교육을 진행했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 홍보지점을 운영한 10개국에서 작년에 한국을 찾은 관광객은 186만 명으로 전년 대비 22.6% 증가했으며,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서는 123.3%의 회복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방한 시장 회복률(93.5%)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향후 관광객 유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