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4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7℃
  • 맑음강릉 21.2℃
  • 구름많음서울 21.6℃
  • 맑음대전 20.5℃
  • 박무대구 20.0℃
  • 박무울산 19.3℃
  • 맑음광주 21.4℃
  • 맑음부산 20.6℃
  • 맑음고창 18.5℃
  • 맑음제주 21.6℃
  • 구름많음강화 19.2℃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7.3℃
  • 구름조금강진군 19.6℃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문화/레저

선생님의 안부를 묻습니다.

나다움과 교사다움 그 사이에서

 

 

파도는 기본값 같다. 좋고 나쁨이 반복된다. 이렇게 받아들이니 한결 편해졌다. 지금 밑바닥이라고 해도 끝끝내 다시 올라오고 좋아질 거라는 믿음이 생겼다. 해를 거듭하면서 파도를 마주하는 힘도 조금씩 세졌다. 전에는 나를 삼키는 파도 앞에서 힘들었지만, 이제는 그 너울에 고개를 빼꼼 내밀고 숨이 쉬어지고, 때론 허리까지만 왔다 지나가는 파도도 있다. 지금까지 나 참 애썼다. 감사하게도 주위에 좋은 사람이 많다. 그래서 이후에 또 큰 파도가 와도 지금처럼 또 끝내 걸어 나가겠다고 믿어본다.” <본문 중에서>

 

무엇이 선생님들을 자꾸 학교 밖으로 내모는 것일까?

 

2023년 교사노조연맹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직 생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문제행동, 부적응 학생 등 생활지도’(31.7%)였고, ‘학부모 민원 및 관계 유지’(24.0%), ‘교육과 무관하고 과중한 행정업무, 잡무’(22.4%) 등이 뒤를 이었다. 이토록 가르치는 즐거움과 보람을 빼앗아 가는 환경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직접적인 교육활동이 아닌 교육활동을 둘러싼 주변 요인이라는 점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절망감은 더 크다. 교사 스스로의 노력으로 극복하기 힘든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교사들의 절박함이 2023년 서이초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을 통해서 폭발했고,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며 교육권을 넘어 생존권을 외치는 상황까지 와 있다.

 

6명 교사의 삶을 담은 이야기들은 교사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 담겨 있다. ‘이렇게까지 해야 교사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안쓰러운 마음도 들었고, 선생님들을 지켜드리지 못한 미안함도 들게 한다. 6명 선생님의 ‘살아남기’는 인간으로서 ‘살아남기’가 아니라 ‘교사로 살아남기’였음을 알 수 있다. 어떻게든 살아남아 ‘교사답게’ 살고 싶어 하는 소망을 확인하게 된다. 김미주 선생님의 맺음말이 6명 모든 선생님 모두의 생각으로 읽혔다.

 

“어떻게 살아왔는지, 상처가 얼마나 깊은지는 자기 자신이 제일 잘 안다. 그때 얼마나 힘들었냐고 자신을 위로하고 안아주며 잘 살아내면 좋겠다. 오늘도 삶의 어느 무대에서 살아내느라 최선을 다하고 있을 당신에게 따뜻한 박수를 보낸다.”

 

“각자의 방식으로 ‘살아남기’ 위해 애쓰고 있는 교사들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게는 학교와 교실을 들여다보는 창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누군가에게는 응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프로필 사진
김대중 기자

포씨유신문 발행인겸 편집인
캐디평생교육원 원장
전, (주)골프앤 대표이사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박사과정 수료
일본 국립 쓰쿠바대학 경영정책과 석사과정 특별연구생
미국 UC Berkeley Extension 수료
저서: 캐디학개론외 7권


포토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