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필즈 랜치 이스트(파72)에서 열리고 있는 2025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이 2라운드를 마치고 본격적인 중반 승부에 돌입했다. 지노 티띠쿤(태국)이 중간합계 6언더파 138타로 3타차 단독 선두에 나선 가운데, 한국 선수들도 상위권으로 도약하며 반등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지노 티띠쿤, 흔들림 없는 리더십 세계랭킹 2위 티띠쿤은 1라운드에 이어 2라운드에서도 안정적인 플레이를 이어가며 단독 선두를 유지했다. 특히 정교한 아이언 샷과 퍼팅 감각이 돋보였으며, 2라운드에서 보기 2개와 버디 4개를 묶어 2언더파 70타를 기록하며 흔들림 없는 경기력을 선보였다. 최혜진, 40계단 상승하며 공동 11위 전날 3오버파로 공동 58위에 머물렀던 최혜진은 이날 버디 4개, 보기 2개로 2언더파 70타를 기록하며 중간합계 1오버파 145타, 공동 11위로 급상승했다. 지난주 마이어 클래식에서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던 그는 이번 대회에서 다시 한 번 우승 경쟁에 나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렉시 톰슨, 은퇴 앞두고 선두권 진입 은퇴를 예고한 렉시 톰슨(미국)도 2라운드에서 2타를 줄이며 중간합계 2언더파로 단독 4위에 올라섰다. 5번,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대표 사업 가운데 하나인 ‘경기 기후보험’이 올해 선보인 가운데 온열질환으로 보험금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 경기도는 군포시에 거주하는 50대 도민이 6월 초 야외활동 중 어지러움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열탈진 진단을 받았으며, ‘경기 기후보험’ 온열질환 보장 항목으로 10만 원의 보험금이 지급됐다고 19일 밝혔다. ‘경기 기후보험’은 기후위기로 인한 건강피해에 대비하고, 기후취약계층을 포함한 도민 전체의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경기도가 지난 4월 11일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정책보험이다. 가입 절차 없이 도민 전체가 자동으로 가입되며, ▲폭염·한파로 인한 온열·한랭질환(열사병, 저체온증 등) ▲특정 감염병(말라리아, 쯔쯔가무시 등) ▲기타 기후재난 관련 상해에 대해 정액으로 보험금이 지급된다. 이번 온열질환 보장 사례는 ‘경기 기후보험’ 개시 이후 발생한 13번째 보험금 지급 사례로, 첫 사례는 4월 중순 발생한 말라리아 확진 환자에 대한 지원이었다. 경기도는 여름철 폭염에 대비해 기후보험 관련 집중 홍보 및 기후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안내를 강화할 계획이다. 박대근 경기도 환경보건안전과장은 “기후재난은 이제 일상적인 위험”이라며
미국 코네티컷주 크롬웰의 TPC 리버 하이랜즈에서 6월 20일(현지시간) 개막하는 2025 트래블러스 챔피언십은 PGA 투어 시즌 마지막 시그니처 이벤트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총출동하는 프리미엄 대회다. 역사와 전통 이 대회는 1952년 인슈어런스 시티 오픈으로 출범해, 2007년부터 현재의 트래블러스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되고 있다. 1984년부터는 TPC 리버 하이랜즈에서 열리고 있으며, 2016년에는 짐 퓨릭이 마지막 라운드에 PGA 투어 사상 최저타인 12언더파 58타를 기록한 역사적인 무대이기도 하다. 2017년에는 조던 스피스가 플레이오프에서 다니엘 버거를 상대로 벙커 샷을 성공시키며 우승하는 명장면을 남겼다. 역대 우승자 최근 5년간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2024년: 스코티 셰플러 (미국), 2023년: 키건 브래들리 (미국), 2022년: 잰더 쇼플리 (미국), 2021년: 해리스 잉글리시 (미국), 2020년: 더스틴 존슨 (미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2025 우승 후보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는 디펜딩 챔피언 스코티 셰플러다. 그는 올해 PGA 챔피언십, 메모리얼 토너먼트 등에서 우승하며 세계 랭킹 1위를 유지 중이다. 최근 US
[조우성 변호사의 골프 딥 다이브] 결함으로 완성된 공 딤플이 없다면 골프공은 날 수 없다?! 골프공 표면의 수백 개의 상처, ‘딤플’. 이 작은 함몰들이 어떻게 완벽한 궤적을 만드는지, 그리고 우리가 왜 불완전함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는지를 담았습니다.
남자골프세계랭킹 상위 15위 US 오픈 우승자인 J.J. 스폰(미국)이 17계단 상승한 8위로 올라섰고, 2위인 로버트 매킨타이어(스코틀랜드)가 8계단 상승한 12위, 3위인 빅터 호블란(노르웨이)이 5계단 상승한 9위로 올라섰다. 순위 추이 국가 선수 평균포인트 합계 출전한 대회 1 - 미국 스코티 셰플러 18.3537 752.50286 41 2 - 북아일랜드 로리 매킬로이 11.0100 506.46087 46 3 - 미국 잰더 쇼플리 7.3149 292.59617 39 4 - 미국 콜린 모리가와 6.1730 253.09418 41 5 - 미국 저스틴 토마스 6.0060 264.26399 44 6 1 미국 러셀 헨리 5.1630 211.68471 41 7 1 오스트리아 셉 스트라카 4.8178 250.52527 54 8 17 미국 J.J. 스폰 4.8153 250
PGA에서 맹활약하고 있는 임성재, 안병훈, 김주형, 김시우 선수 이들 중 최근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많이 갖게 만들지만, 초반 강한 경기력을 보이다가 후반부에 성적이 떨어지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는 김시우 선수에 대해서 골프 통계를 살펴 보았다. 특히, 이번 US오픈과 3라운드까지 단독 1위를 하고 있었던 RBC 헤리티지에 관한 경기 통계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GIR 및 SG 데이터 분석 김시우 선수는 GIR(그린 적중률) 65.28%를 기록하며 필드 평균 수준의 그린 공략 능력을 보였다. 다만 SG: Approach the Green(아이언 샷 정밀도) 0.195로, 아이언 샷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밀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SG: Putting -0.064로, 퍼팅에서 타수를 잃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3m 이내 퍼팅 성공률이 73.77%, 10~15피트 거리에서는 29.66%로 감소하면서 후반부에서 경기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US오픈 경기 흐름 분석 US오픈에서 김시우 선수는 SG: Tee-to-Green 0.882로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SG: Approach(아이언 샷 정확도) -0.8타, SG: Putting -1.2타로 후반부에서
미국 미시간주 벨몬트의 블라이더필즈 컨트리클럽에서 열린 LPGA 마이어 클래식 3라운드에서 최혜진이 보기 없이 버디 3개를 기록하며 11언더파 205타로 이틀 연속 공동 선두를 유지했다. 최혜진은 렉시 톰슨(미국), 마들렌 삭스트롬(스웨덴), 카를로타 시간다(스페인), 나나 마센(덴마크), 소피아 가르시아(파라과이)와 함께 6파전을 벌이며 최종 라운드에서 첫 LPGA 우승을 노리고 있다. 2017프로로 전향한 세계랭킹 29위 최혜진은 지난 US 여자 오픈과 멕시코 리비에라 마야 오픈에서 각각 공동 4위를 기록하는 등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지만, LPGA 한국 투어 12회 우승을 제외하고 LPGA 우승한 적이 없기 때문에 우승에 대한 갈망이 크다. 최혜진이 이번 대회에서 우승하면 힐튼 그랜드 베케이션 토노먼트에서 우승한 김아림, 포드 챔피언십 김효주, 블랙 데저트 챔피언십 유해란에 이어 올 시즌 한국 선수의 4번째 LPGA 우승이자, 마이어 클래식에서 2014년 이미림, 2016년 김세영, 2018년 유소연에 이어 4번째 한국 선수 우승자가 된다. 한편 이소미는 7언더파 209타로 공동 12위, 이미향은 6언더파 210타로 공동 19위, 윤이나는 4언더파 212
한국산업인력공단(이하 ‘공단’)은 13일 비즈허브 서울센터(서울 중구)에서 ‘2025년 상반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유관기관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개최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가 표준화한 것으로, 교육, 훈련, 자격, 기업 분야가 현장의 직무를 중심으로 인적자원을 유기적·효율적으로 양성·관리할 수 있도록 표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협의회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는 각 분야 유관기관과 국가직무능력표준 주요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경청하기 위해 매년 2회(상·하반기) 개최한다. 이번 협의회는 고용노동부,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9개 관계기관이 참여하여 직무능력은행제, 공정채용 등 국가직무능력표준 주요사업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 및 확산을 위한 협업 방안을 모색했다. 직무능력은행제는 직무능력은행(https://bank.ncs.go.kr) 기반으로 개인이 습득한 자격·교육·훈련·경력 등 직무능력정보를 저축·통합관리하고, 취업‧인사배치‧자기계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