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 골프에 따르면, 세계 최대 규모의 건설 및 농업 장비 제조 업체인 JCB와 다년 계약을 체결하고 'LIV GOLF UK by JCB'라 타이틀로 오늘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JCB 골프앤 컨트리 클럽에서 대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리브 골프 홈페이지에 영국에서 개최되는 LIV GOLF UK by JCB 대회에 2023년 마스터즈 챔피언 존 람(Jon Rahm)이 참가할 것이라고 홍보하며, 골프 팬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후원하는 LIV 골프는 2021년 설립돼 피지에이 투어(PGA Tour)와 갈등과 경쟁 나아가 협업 관계까지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 스코어가 인수한 스코틀랜드 클래식 골프웨어 맥케이슨(대표 백배순)이 KLPGA 안소현, 장은수, 조혜림, 국예인, KPGA 김태훈, 한서준 프로와 의류 후원 계약을 체결했다. 맥케이슨은 지난 23FW 리뉴얼을 통해 차별화된 스타일을 선보이며, 주요 핵심 백화점에 입점, 매장들의 매출 호조를 보이며 연착륙에 성공했다. 클래식한 스타일에 라이프스타일과 퍼포먼스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핏과 스타일로 관심을 끌었으며 다양한 레이어드 스타일링을 통해 맥케이슨만의 아이덴티티를 고객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먼저 KLPGA 투어에서 많은 사랑받으며 투어 인기를 견인해온 안소현 프로와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KLPGA 조혜림 프로, 2018년 KLPGA 신인상을 수상한 장은수 프로, 23년 준회원과 정회원을 한번에 통과하며 데뷔하는 국예인 프로가 맥케이슨 골프웨어와 함께한다. KPGA에서는 투어 통산 4승, 2020년 KPGA 제네시스 챔피언십 우승 및 제네시스 대상, 제네시스 상금왕, 베스트 플레이어를 수상한 김태훈 프로와 국가대표 상비군 출신이자, 2013년 KPGA 수석으로 입회한 KPGA 한서준 프로가 생애 첫 투어 데뷔에 맥케이슨과 함께 하며, 공
장원삼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은 17일∼19일(현지시각) 베트남을 공식 방문, 베트남 정부 고위 인사들과 산업인력 양성, 과학기술 R&D 미래 파트너십 등 공적개발원조(ODA)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함께 힘을 모아 나가기로 했다. 장 이사장은 이번 3일 간의 베트남 방문 중 부총리, 노동사회부 장관, 과학기술부 장관, 농업농촌개발부 장관 등을 연이어 만나 산업인력 양성, 연구개발(R&D) 협력, 혁신적 농촌공동체 개발 등 향후 베트남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동력이 될 새로운 ODA 프로그램 구상을 폭넓게 논의했다. 특히 '코이카 개도국 산업인력 양성 프로그램'(가칭)은 코이카가 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및 한-아세안 연대구상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기획한 신규 '시그니처 프로그램'으로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비롯한 여러 개도국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이카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개도국 현지의 산업 수요에 맞는 숙련기능 및 전문인력의 양성을 지원함으로써 해당 국가의 산업기반을 강화하는 상생 발전의 노력을 더욱 심화해나갈 계획이다. 이로써 한국의 강점인 인적자원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국과 개도국 간 인적 교류 증진, 숙련 기술의 개
사단법인 한국대중골프장협회(회장 : 임기주)는 3월 20일(수) 오전 10시 30분 양재동 소재 더케이호텔서울 2층 가야금홀에서 2024년도 정기이사회 및 총회를 개최하고 2023년도 사업실적 및 결산(안)과 2024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등 부의안건을 원안대로 만장일치 의결했다. 임기주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 골프장 업계는 작년 큰 변화를 겪었다”면서, “과거와 달리 골프장 분류체계가 3분 체제로 변화되면서 대중골프장업계에 이용요금 결정 등과 관련한 일정한 의무가 부과되었으며, 코로나 엔데믹 이후 내장객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임 회장은 “정부의 정책과 제도 변경으로 인해 골프장 경영에 미치는 외부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회와 정부는 물론 언론에 업계의 입장을 적극 설명하여 어려움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협회는 2024년도 신규사업으로 골프대중화를 통한 국민의 체력 증진 및 여가 선용 기회 증대와 관련, “대중골프장의 경영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임직원 대상 연찬회 개최’, ‘경영혁신 우수자 포상’, ‘내장객 변동 현황 및 각종 데이터 제공’ 등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잔디 예지물 관리방식을
영 톰 모리스의 삶은 골프 코스 위에서는 눈부신 영광의 연속이었지만, 그라운드 밖에서는 한 젊은이의 고뇌와 비극이 깊게 드리워져 있었다. 특히 아버지 올드 톰 모리스와의 관계는 그의 삶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하고도 아픈 축이었다. 두 사람은 단순히 아버지와 아들을 넘어, 당대 최고의 골프 부자이자 스승과 제자, 그리고 동료이자 라이벌이었다. 함께 디 오픈의 영광을 나눴고, 챌린지 매치에서 한 팀을 이루며 골프 역사를 써 내려갔다. 그들의 유대감은 골프계의 전설로 통했다. 그러나 이처럼 단단했던 부자 관계에 균열이 가기 시작한 것은 영 톰의 '사랑' 때문이었다. 1874년, 영 톰은 마거릿 드루리(Margaret Drinnen)라는 여성과 결혼을 발표했다. 영 톰은 마거릿을 만난 후 빠르게 깊은 사랑에 빠져들었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으로, 그들은 만남 초기에 이미 육체적인 관계를 맺을 정도로 서로에게 강하게 이끌렸다. 하지만 마거릿에게는 복잡한 과거가 있었다. 그녀는 영 톰보다 연상이었을 뿐만 아니라, 과거의 관계에서 사생아를 낳았던 전력이 있었다. 비록 그 첫 아이는 태어난 지 몇 주 만에 세상을 떠났지만, 당시의 보수적인 사회는 물론 교회에서조차 '낙인찍히고
영 톰 모리스의 진정한 위대함은 단순히 압도적인 우승 기록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19세기 골프의 판도를 바꾼 '기술 혁신가'이자 '스타 플레이어'로서 현대 골프의 씨앗을 뿌린 선구자였다. 당시의 골프는 주로 신중한 플레이와 예측 가능한 샷이 주를 이루었으나, 영 톰은 이러한 보수적인 틀을 깨고 더욱 공격적이고 창의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선보이며 관중들을 열광시켰다. 그의 플레이는 단순히 힘을 과시하는 것을 넘어, 정교한 기술과 대담한 전략이 결합된 예술에 가까웠다. 영 톰의 혁신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그의 신체적 특징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는 아버지 올드 톰 모리스보다 큰 약 173cm(5피트 8인치)의 키에 단단하면서 강인한 체격, 특히 매우 강한 손목을 지녔다. 이러한 체형은 당시로서는 드물게 강력하고 유연한 스윙 아크를 만들어낼 수 있게 했으며, 이는 그의 파워풀한 드라이브 샷의 원동력이 되었다. 그의 젊고 건장한 육체는 단순히 공을 때리는 것을 넘어, 공에 다양한 스핀을 걸고 궤적을 조절하는 섬세한 기술을 구현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었다. 그가 발명하고 대중화시킨 가장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는 바로 '백스핀(Backspin)'이었다. 당시에
아버지의 엄격하면서도 세심한 가르침, 그리고 에어 아카데미에서의 특별한 교육 환경 속에서 영 톰 모리스의 골프 재능은 놀라운 속도로 만개했다. 그의 이름이 전 세계 골프계에 각인된 것은 1868년, 바로 디 오픈 챔피언십(The Open Championship)에서였다. 당시 17세 5개월 8일의 나이로 출전한 영 톰은 이 대회에서 154타라는 경이로운 스코어를 기록하며 챌린지 벨트를 품에 안았다. 이 기록은 디 오픈 역사상, 그리고 남자 골프 메이저 대회 역사상 최연소 우승이라는 불멸의 대기록으로, 150년이 넘는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골프 역사에는 영 톰 모리스처럼 어린 나이에 천재성을 발휘한 선수들이 존재한다. PGA 투어 최연소 우승 기록은 18세 6개월 9일의 찰스 코치스(Charles Kocsis, 1931년 미시간 오픈)가 가지고 있으며, 현대 골프의 아이콘 타이거 우즈(Tiger Woods)도 20세 9개월 6일에 첫 PGA 투어 우승을 거머쥐었다. 메이저 대회로 범위를 넓혀보면, 영 톰 다음으로 젊은 우승자로는 존 맥더모트(John McDermott, 19세 9개월, 1911년 U.S. 오픈)가 있으며, 타이거 우즈는 21세 3개월에
사단법인 한국대중골프장협회(회장 임기주)는 “우리 모두 다 함께!”라는 캐치프레이즈로 매년 대중골프장의 사회공헌 활동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2023년에도 협회 회원사 대중골프장에서 후원금 및 물품 등으로 20억 4천만 원 상당을 기부하였다고 밝히며 회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원에 감사 인사를 전한다고 하였다. 협회 회원사 대중골프장들은 지역발전 및 장학 기금 출원 지역 복지 단체 기부 꿈나무 골퍼 육성 지원 지역 어르신 초청 및 식사제공 등 경로효친 행사 후원 장애인 한마음대회 후원 북한 이탈주민 장학금 자선 골프대회 지역민 체육대회 찬조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였다. 대중골프장협회 임기주 회장은 “협회 회원사 대중골프장들이 일심동체가 되어 어렵고 소외된 이웃들을 위해 조금이라도 봉사할 수 있어 참으로 기쁜 마음”,이라며 “‘골프대중화’는 물론 우리 사회의 어려운 이웃들과 늘 함께 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영 톰 모리스, 본명 토머스 미첼 모리스 주니어, 그의 탄생은 스코틀랜드 골프 역사에 한 줄기 빛을 던지는 사건이었다. 1851년 4월 20일,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에서 태어난 그는 '골프의 아버지'라 불리는 올드 톰 모리스와 낸시 베이(Nancy Bay)의 아들이었다. 그의 출생은 올드 톰이 인생의 중대한 전환점을 맞았던 시기와 정확히 맞물린다. 1840년대 말, 올드 톰은 스코틀랜드 골프의 거장이자 자신의 스승이었던 앨런 로버트슨의 견습생으로 일했으나, 구타페르차 볼(gutta-percha ball) 사용을 둘러싼 갈등으로 로버트슨과 결별하고 1851년 프레스트윅(Prestwick)으로 이주했다. 영 톰의 탄생은 모리스 가문의 새로운 시작을 상징했으며, 이 환경 속에서 그는 골프에 둘러싸인 특별한 유년기를 보낼 수 있었다. 아버지 올드 톰 모리스는 프레스트윅으로 이주한 후, 그곳에서 그린키퍼이자 클럽 및 볼 제작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프레스트윅 골프 클럽의 코스를 설계하고 관리했으며, 이는 1860년 디 오픈 챔피언십 창설의 기반이 되었다. 반면, 올드 톰이 캐디 출신으로서 맨땅에 헤딩하듯 골프계에 뛰어들어 자신의 입지를 다졌다면, 영 톰은 아버지의
사단법인 한국대중골프장협회(회장 임기주)는 11월 21일(화) 경남 합천 소재 아델스코트 CC에서 「대중골프장 전문경영인회」 11월 월례회를 개최했다. 「대중골프장 전문경영인회」는 대중골프장 협회 회원사 골프장 대표이사와 임원 등 전문경영인들이 골프장 경영 및 관리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회의체로, 이날 회의에는 20여개 골프장에서 30여명이 참석했다. 협회 김태영 상근부회장은 ‘골프장 이용 질서 다양화’ 등 국회 체시법 개정 진행 상황 및 회원제 골프장 재산세 감세 주장의 부당성에 대한 설명과 함께 어려운 이웃 돕기 등 대중골프장의 사회 공헌 활동 적극 참여 요청, 골프장 인력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정부에 건의할 ‘외국인 근로자(E-9)’의 고용 허용 관련 골프장별 수요조사’ 에 신속한 자료 제출 등 협조를 당부하였다. 한편 이날 월례회에 「BnBK 아카데미연구소」(소장 권성호)는 겨울철 코스관리 유의사항에 관한 특강을 통하여 ‘경영자가 꼭 알아야 할 12월 코스관리 상식’에 대해 설명하였고, 골퍼들의 예약 편의성 제고를 위한 골프 예약 서비스의 합리적 운영 및 발전방안에 대해 참석자들간 활발한 토의와 다양한 내용의 제안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