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종 엣지리뷰27]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
“16세기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은 실크 스타킹을 가질 수 있었다. 자본주의는 가난한 여공도 그 스타킹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0세기 초 미국의 대표적인 이론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는 대중의 삶을 향상하는 자본주의를 이렇게 설명했다. 인류 역사에서 자본주의 체제로 가장 큰 번영을 이룬 나라는 단연 미국이다. 미국인들은 황무지에서 400년 만에 세계 최고의 부를 일궜다. 오늘날 미국은 자국 통화를 기준으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국민의 생활 수준 역시 노르웨이, 카타르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때 각국에서 이민자들이 ‘기회의 땅’ 미국으로 몰려든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이 이처럼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번영을 이룬 요인은 무엇일까. 이 해묵은 질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지낸 앨런 그린스펀과 이코노미스트 저널리스트 에이드리언 울드리지가 쓴 이 책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에서는 ‘창조적 파괴’라는 답을 내놓았다. 창조적 파괴란 슘페터가 1940년대 자신의 저서에서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생산성 향상 과정을 의미한다. 미국은 전통산업의 파괴가 창조의 대가임을 기꺼이 받아들였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