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11.5.(화) 「’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4.7.12.~7.31. 전국 17개 시도 청년(19세~34세) 4,001명에게 직업관, 직무 관련 만족스러운 직장생활 조건 등에 대해 조사했으며, 응답자(4,001명)는 ‘1회 이상 직장경험 있는 구직자’ 또는 ‘현재 재직자(2,738명)’이다. 일의 목적은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 청년에게 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생활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가 81.9%로 경제적 목적이 가장 크고, 성취감을 위해, 지식 습득을 위해, 소속감을 얻기 위해서라는 순으로 조사되었다. 좋은 일자리는 임금과 복지 청년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기준은 ‘임금·복지’가 69.2%(복수응답 기준)로 가장 중요하며, ‘일생활 균형’도 51.2%, ‘직무전문성’(21.7%), ‘공정한 보상’(21.6%)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규모보다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 조사 결과, 청년 대다수(87.0%)가 ‘임금·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관계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63%가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하며, 59.1%는 직장 선택 시 임금을 고용형
일‧가정 양립과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 기업 경쟁력 확보와 저출생 해소의 방안 중 하나로 유연근무에 관한 관심이 지속 중인 상황에서도 방법을 모르거나 인사·노무관리 부담으로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이 여전하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사업주와 인사담당자의 고민을 덜고자 하는 취지로 “일‧생활 균형을 위한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을 발간․배포했다. 매뉴얼에는 시차출퇴근, 선택근무제, 재택‧원격근무, 근로시간 단축제의 4가지 제도를 소개하며, 유연근무 도입 기초단계의 설문조사 예시부터, 선택 가능한 실제 모델, 취업규칙 개정 등 요건, 초과근무 등 관리의 유의점과 같이 실무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법들을 세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하여서는 내년 2.23. 시행 예정인 임신‧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등 최신 법 개정사항이 미리 수록되어 있어 현장의 빠른 제도안착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많은 기업들이 매뉴얼로 제도 도입의 방향을 잡기를 기대한다”라며 “내년부터는 재택근무 장려금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 특히 육아기 유연근무자는 일반 근로자 대비 지원을 2배로 강화하는 등(기존 1인당 최대 4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