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11.5.(화) 「’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4.7.12.~7.31. 전국 17개 시도 청년(19세~34세) 4,001명에게 직업관, 직무 관련 만족스러운 직장생활 조건 등에 대해 조사했으며, 응답자(4,001명)는 ‘1회 이상 직장경험 있는 구직자’ 또는 ‘현재 재직자(2,738명)’이다.
일의 목적은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
청년에게 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생활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가 81.9%로 경제적 목적이 가장 크고, 성취감을 위해, 지식 습득을 위해, 소속감을 얻기 위해서라는 순으로 조사되었다.
좋은 일자리는 임금과 복지
청년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기준은 ‘임금·복지’가 69.2%(복수응답 기준)로 가장 중요하며, ‘일생활 균형’도 51.2%, ‘직무전문성’(21.7%), ‘공정한 보상’(21.6%)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규모보다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
조사 결과, 청년 대다수(87.0%)가 ‘임금·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관계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63%가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하며, 59.1%는 직장 선택 시 임금을 고용형태보다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 임금수준은 세후 기준 ‘300∼350만원’(25.9%)이 가장 많은 가운데, 76.3%가 ‘300만원 이상’을 원했다. 적정 근무시간은 ‘40~45시간 미만’(50%)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별휴가’·‘유연근무’는 선택이 아닌 필수
필수적 복지제도를 묻는 질문에, ‘특별휴가’(38.5%, 복수응답), ‘유연근무’(35.4%), ‘재택근무’(31.1%)가 금전적 지원(병원비·경조사비·대출지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엠지(MZ) 세대라고도 불리는 청년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며, 유연근무나 재택근무와 같이 일하는 데 있어 시간과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 하기를 원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적성·흥미에 맞는 직무를 원하며, 현재 직무전환을 고려한다는 응답 많아
직무 수행에 있어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적성 및 흥미’(67.7%)가 ‘교육 수준’(54.5%)이나 ‘기술 수준’(59.4%)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만, 직무 전환 고려 여부 질문에 48.4%가 ‘직무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노동연구원 김유빈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설문조사는 청년들의 요구에 맞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취업 전에는 취업진로 상담, 일경험 등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직무를 충분히 탐색하도록 하고, 취업 후에는 기업에서 청년들이 다양한 근로시간과 근무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제도 도입과 경력개발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직무 전문성 향상을 위해 회사는 사내직무교육을 가장 많이 제공 하지만, 청년은 자격증 취득지원을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재학 단계부터 학생들이 수시·경력직 채용에 맞춰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경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며, 대학 졸업 후 취업하지 못한 청년을 발굴하여 찾아가는 서비스를 내년에 120개 대학으로 확산하여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했다.
아울러 “기업에서도 청년들이 시간과 공간을 더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나아가 근로자와 기업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경사노위 논의를 통해 찾아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