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내 모바일 앱 시장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이 전례 없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발표한 ‘2024 모바일 앱 총결산 리포트’에 따르면, AI 기반 앱의 설치자 수는 전 연령대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챗GPT를 비롯한 주요 AI 앱들이 시장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챗GPT는 사용자 수 증가량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올해 가장 많이 성장한 앱 3위에 올랐다. 2024년 10월 기준 챗GPT의 국내 사용자 수는 526만 명으로, 올해 초보다 364만 명 증가했다. 이는 토스(481만 명 증가)와 쿠팡이츠(389만 명 증가)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성장폭이다.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앱의 사용자는 전 세대에 걸쳐 큰 폭으로 증가했다. 40대: 월평균 사용자 수 132만 명(+169%), 모든 세대 중 가장 높은 증가율 20대: 129만 명(+155%), AI 기술 활용도가 높은 젊은 층의 적극적인 참여 30대: 117만 명(+156%), 일과 생활 모두에서 AI 도구 활용 증가 50대: 79만 명(+168%), 중장년층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 60세 이상: 40만 명(+16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원장 이장희)이 고용노동부와 함께 직업훈련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할 우수사례 발굴을 위해 진행한 ‘2024년도 직업훈련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5월 29일부터 7월 24일까지 접수한 공모전에는 ▲훈련기관 혁신 분야 12점, ▲훈련과정 혁신 분야 11점 등 총 23점이 접수되었으며, 직업훈련 및 에듀테크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총 최우수상 2점, 우수상 1점, 장려상 3점 등 총 6점(기관혁신 2점, 과정혁신 4점)의 우수사례가 선정됐다. 최우수상에 선정된 글로벌산업기술교육원(과정혁신 분야)은 자체 과정개발 모델인 ‘ARTIO(Analysis-Research-Test-Internal training-Operate)’ 적용을 통해 뿌리산업 훈련과정(제조업 공정기술 훈련)에 챗 지피티, 가상현실 등 에듀테크를 접목해 훈련 효과성을 높였다. 뿌리깊은나무직업전문학교(과정혁신 분야)는 공예 직종에 디지털 기술 및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Project Based Learning) 적용으로 훈련생 역량을 높여 2024년 지방기능경기대회(대전광역시)에서 실내장식 금상(1위) 및 동상(3위), 가구 은상(2위),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