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장관 김영훈)는 9월 5일(금)에 고용노동행정 인공지능 대전환 회의(AX Summit)를 개최했다. 고용노동부는 이 회의에서 인공지능(AI) 노동법 상담과 근로감독 인공지능(AI) 비서의 운영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동자, 사업주, 산업계 리더, 공인노무사, 근로감독관 등 다양한 참석자와 함께 일하는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고용노동행정의 인공지능 대전환(AX)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인공지능(AI) 노동법 상담은 임금, 근로시간, 실업급여에 관해 24시간 맞춤형으로 상담하는 서비스로 누구나 ai.moel.go.kr에 접속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마음AI와 함께 과기정통부의 ‘초거대 AI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에 참여하여 인공지능(AI) 노동법 상담 시제품을 개발했다. 올해 3월에는 한국공인노무사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후 공인노무사 173명으로 구성된 지원단의 전문적인 감수를 통해 답변의 정확도를 높였고, 외국인 노동자를 위해 32개 언어를 지원하도록 개선했다. 아울러 4천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한 ‘당근마켓’에서 고용노동부에 제휴를 요청하여 ‘당근알바(당근마켓 내 구인구직 매칭
교육부와 국립국제교육원은 9월 15일(월)부터 10월 31일(금)까지 ‘2026년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생(학부과정)’ 지원서 접수를 실시한다. 2026년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생 신규 선발 인원은 1,900여 명*이며, 이 중 학부 과정 장학생을 280명 선발하여, 내년 1월 초에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과정별 선발 인원(안)은 학부 280명, 대학원 1,580명, 어학연수 40명이다.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사업(GKS, Global Korea Scholarship)’은 매년 전 세계 우수 인재를 초청하여 국내 학위(학·석·박사) 취득을 지원하는 우리나라 대표 장학사업으로, 사업이 시작된 1967년부터 현재까지 총 161개국 19,502명의 우수 인재를 선발‧지원해 왔다. 지금까지 과정별 선발인원을 보면, 석·박사 15,679명, 학사 3,124명, 전문학사 388명, 연구 과정 210명, 어학연수 101명으로 조사되었다. 장학생 선발‧지원은 학부와 대학원 과정으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학부과정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본인과 부모가 모두 외국 국적을 소지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는 지원할 수 없으며, 2026년 3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 편성 방향은 단순한 문화·체육·관광 지원을 넘어 산업 간 융합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해석된다. 특히 골프와 관광을 접목한 콘텐츠 개발은 지역경제와 스포츠산업, 문화관광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핵심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1. 골프 관광, 왜 주목받는가? 첫째, 통계에 따르면 국내 골프 인구는 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MZ세대의 유입으로 레저·문화 소비층으로 확장 중이다. 둘째, 강원·전남·제주 등 지역 골프장 인프라 확대로 자연경관과 연계된 골프장 중심으로 관광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셋째, 일본·중국·동남아 등 인접국가에서 한국 골프장 체험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골프는 이제 스포츠를 넘어 지역 관광과 문화 콘텐츠를 연결하는 플랫폼입니다.” – 포씨유 관광팀 2. 문체부 2026년 예산안에서 읽는 시사점 분야 예산 방향 골프 관광과의 연계 가능성 지역문화·관광 활성화 지역축제·관광콘텐츠 개발 확대 골프장 중심 관광 루트 개발 스포츠산업 육성 생활체육·레저스포츠 지원 강화 골프장 기반 지역 스포츠 클러스터
골프 캐디는 골프 경기의 원활한 진행을 돕고 골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고객 응대, 장비 운반, 장시간 야외 근무 등 다양한 업무 환경에 노출되어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위험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열악한 근로 환경으로 인해 여러 건강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개인의 고통을 넘어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0년 1월 16일 시행된 산업안전보건법 제77조에 따라 골프장 캐디를 고객의 폭언 등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 지정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고용노동부는 캐디를 포함한 모든 산재보험 가입자의 업무상 질병 산재 처리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발표하며 캐디의 건강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캐디가 가장 많이 겪는 질병 TOP5와 함께, 실제 산업재해 인정 사례들을 통해 캐디의 건강과 노동권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1. 캐디가 가장 많이 겪는 질병 TOP 5 골프 캐디는 업무 특성상 다양한 건강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캐디들이 주로 겪는 다섯 가지 질병 유형입니다. 첫째, 근골격계 질환 캐디들이 가장 흔하게 겪는 질병 중
2025년 9월 3일, 서울 강남의 아트큐브 2R2 갤러리에서 프리즈 서울과 키아프 서울 기간에 맞춰 열린 특별한 초대 행사 ‘청담 나이트: 찬란한 빛과 예술혼’은 한국 현대미술을 이끌어온 여성 작가 5인의 작품을 조명하며 예술과 도시, 여성성과 시대정신이 교차하는 밤을 만들어냈다. 1. 전시 개요: 한국 여성작가 5인의 빛 작가 주요 특징 천경자 강렬한 색채와 여성의 내면을 그려낸 한국 현대 미술의 상징 박래현 한국화와 추상미술을 넘나든 실험적 여성 작가 윤석남 여성주의 미술의 대표 주자, 설치·회화·퍼포먼스 등 다매체 작업 방혜자 빛의 철학을 담은 추상 회화로 프랑스와 한국을 잇는 작가 류민자 자연과 생명, 여성의 감성을 담은 조형 언어로 주목받는 작가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시대의 어둠을 밝히며 한국 여성미술의 정체성과 예술적 독립성을 구축해왔다. - 한국의 빛나는 여성작가 5인전은 2025년 8월 22일부터 10월 28일까지 아트토큰 갤러리(서울 강남 선릉로)에서 열리고 있다. 2. 홍지숙 대표 인터뷰 아트큐브투알투 대표이자 아트토큰 창립자 홍지숙 대표는 이번
2025년 9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KIAF SEOUL 2025(한국국제아트페어)는 전 세계 미술 애호가와 컬렉터들이 주목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다. 올해는 20여 개국 175개 갤러리가 참여하며, 한국 단색화 거장부터 글로벌 팝아트 작가까지 다양한 작품이 전시되었다. 이런 예술의 장에서 최형준 대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서 예술과 사회, 소비자 경험을 연결하는 시선을 제시하며 다양한 예술 행사에 초청받고 있다. 그는 키아프 서울 2025를 통해 예술이 브랜드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키아프 서울 2025, 올해의 특징 - 주제: 공진(Resonance), 예술의 회복력과 공명의 힘을 조명 - 구성 섹션 키아프 갤러리즈: 국내외 156개 갤러리 부스 키아프 플러스: 신진 작가와 신생 갤러리 조명 키아프 하이라이트: 선정 작가 10인의 집중 소개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전시- 공동 프로그램 키아프·프리즈 서울·예술경영지원센터가 공동 기획한 토크 프로그램 국내외 미술계 주요 인사 초청, 동시대 예술 담론 공유 최형준 대표의 시선 브랜드와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꾸
순위 추이 국가 선수 평균포인트 합계 출전한 대회 1 - 미국 스코티 셰플러 20.9064 857.16393 41 2 - 북아일랜드 로리 매킬로이 10.9830 494.23350 45 3 - 미국 잰더 쇼플리 6.5613 262.45237 38 4 - 미국 러셀 헨리 6.3437 353.74984 39 5 - 미국 저스틴 토마스 5.7555 253.24282 44 6 - 영국 토미 플릿우드 5.6117 286.19724 51 7 - 미국 J.J. 스폰 5.4156 281.60960 55 8 - 미국 콜린 모리가와 5.2335 219.80867 42 9 - 스코틀랜드 로버트 매킨타이어 4.9316 256.44069 63 10 - 미국 해리스 잉글리시 4.8281 231.74915 48 11 -
고용노동부가 2025년 골프장 캐디의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관련 기준을 고시했다. 이번 고시의 핵심은 캐디의 산재보험료 산정 시 적용되는 '필요경비 공제율'이 대폭 상향된 것이다. 이는 캐디의 실소득에서 공제되는 비용이 늘어나 산재보험료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고용보험료, 2024년과 동일 고용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보수액'은 월 2,699,994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고용보험료는 이 기준 보수액에 실업급여 요율(1.6%)을 적용해 산정되며, 캐디와 골프장이 절반씩 부담한다. 이에 따라 캐디와 골프장은 각각 21,590원을 납부하게 된다. 이는 2024년과 같은 금액으로, 고용보험료 부담에는 변동이 없다. - 캐디 부담액: 2,699,994원 × 0.8% = 21,590원 - 골프장 부담액: 2,699,994원 × 0.8% = 21,590원 산재보험료, 필요경비 상향으로 납부액 감소 이번 고시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산재보험료 산정 방식이다. 고용부는 캐디의 산재보험료를 계산할 때 적용하는 필요경비 공제율을 20.8%로 확정했다. 이는 지난해 공제율인 15.6%보다 5.2%p 상향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