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0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노스 베릭의 르네상스 클럽(파70, 7282야드)에서 제네시스 스코티시 오픈이 막을 올렸다. 총상금 900만 달러(우승 상금 140만 달러, GV70 전동화 모델)가 걸린 이번 대회는 디 오픈 챔피언십의 전초전으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출전했다. 1라운드 주요 결과 셉 스트라카(오스트리아), 제이크 냅(미국), 니코 에차바리아(콜롬비아), 빅타 페레스(프랑스)가 6언더파 64타로 공동 1위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김주형과 빅터 호블란(노르웨이) 등이 4언더파 66타로 공동 9위를 이루고 있으며, 안병훈은 스코티 셰플러 등과 3언더파 67타로 공동 14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선수 활약 김주형은 최근 컷 탈락을 반복하던 흐름을 끊고 부활의 신호탄으로 버디 5개, 보기 1개를 묶어 4언더파로 공동 9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안병훈은 보기 없이 깔끔한 플레이로 3언더파로 지난해 공동 3위에 이어 링크스 코스의 강자로서의 면모를 재확인하고 있다. 임성재와 김시우는 이븐파로 공동 68위를 기록하고 있어서, 컷 통과를 위해 2라운드를 분발할 필요가 있다.
프랑스 에비앙레뱅에서 열리는 여자골프 시즌 네 번째 메이저 대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이 11일(한국시간) 막을 올렸다. 총상금 800만 달러(약 110억 원)가 걸린 이번 대회는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총출동한 가운데, 한국 선수들도 강세를 보이며 첫날부터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여자골프 메이저 대회란? 여자골프에는 총 5개의 메이저 대회가 있다. 이들은 LPGA 투어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우승 시 세계랭킹 포인트와 투어 시드, 명예까지 얻을 수 있다. 대회명 개최 시기 특징 셰브론 챔피언십 4월 시즌 첫 메이저, 전통의 ‘포피의 연못’ 다이빙 세리머니 US 여자오픈 6월 가장 오래된 메이저, 최고 상금 규모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6월 PGA와 공동 주최, 코스 난이도 높음 아문디 에비앙 챔피언십 7월 유럽 유일의 메이저, 산악 코스 AIG 여자오
“티 없이 맑은 저 학생들의 표정을 봐라!” 단체 유니폼을 입고 거리로 나선 청소년들 사이에선, 소속감·자부심·설렘·추억이라는 감정이 흐른다. 그 옷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니라, 함께하는 경험에 대한 동의서이자 유대의 징표다. 유니폼 속 반짝이는 마음들 감정 설명 소속감 "우리는 하나다"… 함께 걷는 것만으로 유대감 형성 자부심 무언가를 함께 준비하고 실행했다는 성취감 설렘 평소와 다른 특별한 날이라는 느낌, 누군가의 시선에 기분이 들뜸 재미 친구들과 함께한 놀이 같은 느낌, 사진과 추억이 쌓임 포씨유 시선: “청소년기에 단체 유니폼은 감정적 공동체의 상징이다. 사춘기라 해도, 함께 하는 순간은 아이들을 웃게 만든다.” 사춘기란, 감정과 생각이 엉켜 터지는 ‘인생 첫 성장통’ 사춘기는 어린이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전환기로 정체성 혼란, 독립 욕구, 감정의 폭발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다. 부모의 역할은 통제자가 아닌 동반자여야 한다. 사춘기 자녀를 위한
남자골프세계랭킹 상위 15위: 9위와 10위인 셉스트라카와 루드비그 오베리만 자리 바꿈 순위 추이 국가 선수 평균포인트 합계 출전한 대회 1 - 미국 스코티 셰플러 17.9426 735.64549 41 2 - 북아일랜드 로리 매킬로이 10.7943 496.53589 46 3 - 미국 잰더 쇼플리 6.9047 276.18821 39 4 - 미국 저스틴 토마스 6.1487 264.39360 43 5 - 미국 콜린 모리가와 6.0462 247.89268 41 6 - 미국 러셀 헨리 5.8949 235.79629 40 7 - 미국 키건 브래들리 4.9368 222.15460 45 8 - 미국 J.J. 스폰 4.8128 250.26613 54 9 1 스웨덴 루드비그 오베리 4.6849 220.18959 47 10 -1 오
2025년 7월 5일, 이진주 아나운서가 ‘2025 대한민국 엔터테이너 대상’을 수상했다. 해당 상은 대한민국엔터테인먼트협회가 주관하며,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방송인·연예인·공연인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이다. 수상 배경: “문화예술 공헌 발전에 크게 기여” 수상 인증서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담겼다. “귀하는 대한민국 문화예술 공헌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으며, ‘2025 대한민국 엔터테이너 대상’에 선정되어 이 상을 수여합니다.” 이는 단순한 방송 출연 이상의 활동, 즉 교육·행사·공공 콘텐츠 제작 등 다방면에서의 기여를 인정받은 결과다. 활동 이력: 방송을 넘어, 말의 가치를 전하는 사람 분야 주요 활동 방송 CJ 사내방송 진행, 민방위·전기공사협회 교육영상 아나운서, 산업일보 기자 등 행사 문화체육관광부 워크숍, 스마트건설 투자설명회, 구청 공연 사회 등 교육 광운대·부개여고·인천시교육청 등에서 스피치·미디어 강의 진행 홍보 한국관광공사·유신투자증권·모비피트니
“요즘은 공원에서 흙을 밟고 뛰노는 아이들을 보는 게 참 드물다.” 포씨유 최수경 기자는 지하철 안에서 “요즘 어린아이 보기 힘들다”는 어느 할머니들의 탄식을 듣고, 이 현실을 정면으로 들여다보고자 했다.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놀지 못하는 이유 원인 설명 도시화 아파트·빌딩 밀집으로 자연 접근성 약화 과잉 학습 학원·숙제에 쫓겨 자유 놀이 시간 감소 디지털 문화 스마트기기가 일상 놀이 공간 대체 안전·과보호 외부 위험 우려로 실내 활동 선호 이렇게 아이들은 자연이 아니라 건물 안, 햇살이 아니라 스크린 속에서 시간을 보낸다. 자연 놀이가 주는 6가지 성장 조건 효과 설명 ① 신체 건강 운동량 증가 → 비만 예방, 비타민 D 생성 ② 정서 안정 자연의 소리와 풍경 → 스트레스 완화 ③ 창의력 규칙 없는 공간
2025년 7월 첫 주말, 부산 해운대 백사장은 폭염경보 속에서도 여전히 사람들로 북적였다. 체감온도 35도, 백사장 위는 숨이 턱 막힐 듯한 열기로 가득했지만, 그 안에는 시원한 음료 한 캔, 웃는 얼굴 하나, 그리고 바다를 향한 진심이 있었다. “이건 그냥 음료가 아닙니다” – 무료 시음 사장님의 마음 해운대 백사장 앞 화장실 인근, 중·고등학생들과 수험생들에게 인기 있는 에너지음료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었다. 그 음료에는 단순한 청량감이 아닌, 사장님의 땀과 시간, 그리고 희망이 담겨 있었다. “마시는 순간, 사장님의 따뜻한 마음이 느껴졌습니다.” – 포씨유신문 기자의 시선 에어컨도 없이 모래사장 위에서 웃으며 봉사하는 그 모습, 그 자체가 해운대의 풍경보다 더 인상 깊었다. “딱 한 커플, 그래서 더 눈에 띄었다” 이날 백사장에서는 유독 연인들이 잘 보이지 않았지만, 한 쌍의 부산 시민 커플이 눈에 들어왔다. 대기업에 근무하는 지성인 커플, 그들의 밝은 인상과 자연스러운 분위기는 해운대의 여름을 더욱 따뜻하게 만들었다. 해운대는 왜 여전히 붐비는가? 이유 설명 ① 바다와 도시의 공존
2025년 7월 6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실비스의 TPC 디어런(파71)에서 열린 PGA 투어 존 디어 클래식 최종 라운드, 김시우(30)는 보기 없이 버디만 6개를 기록하며 6언더파 65타를 적어냈다. 최종합계 15언더파 269타, 공동 11위로 대회를 마쳤다. 김시우, 3라운드 1오버가 발목 1R: 65타 (-6) 2R: 67타 (-4) 3R: 72타 (+1) ← 무빙데이 부진이 결정적 4R: 65타 (-6) “3라운드에서 1오버파만 아니었어도… 선두와 단 3타 차였기에 더욱 아쉬운 결과다.” 브라이언 캠벨, 연장전 끝에 시즌 2승 최종합계 18언더파 266타로 에밀리아노 그리요(아르헨티나)와 동률을 이뤄 연장 승부에 돌입했다. 18번 홀(파4)에서 열린 1차 연장전에서 파 세이브 성공, 그러나 그리요는 파 퍼트 실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다. 캠벨은 지난 2월 멕시코 오픈에 이어 5개월 만에 시즌 2승째을 거두었고, PGA 투어 드라이브 거리 최하위권(276야드)임에도 정교한 샷과 쇼트게임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포씨유 시선: “김시우, 마지막 날엔 완벽했다… 단 1타가 아쉬웠다” 공동 5위 그룹과는 단 1타 차이, 우승까지는 3타 차, 올 시즌 톱
수도권 한 골프장에서 캐디피가 17만 원까지 올랐다. 지방 골프장도 14만 원이 제일 적은 금액이고, 대부분 15만원, 3부는 16만원으로 오르며 전국적으로 인상 흐름이 뚜렷하다. 골퍼들은 불만을 표출하기 시작했다. “캐디가 제대로 된 역할을 안 하면서 17만 원을 받는 건 납득이 어렵다.” SNS 캐디피 인상에 대한 댓글 속 짧은 말이 지금 골프장 현장의 감정선을 정확히 보여준다. 캐디피 인상의 구조적 배경: 수요와 공급, 그 냉정한 원칙 캐디피는 골프장이 아닌 고객이 직접 지불하는 구조다. 여성 캐디를 선호하는 수도권 골프장에서는 높은 캐디피를 제시해서 여성캐디를 유치하려는 ‘경쟁 인상’이 벌어질 수 밖에 없다. 결국 캐디 구인난 → 캐디피 인상 → 캐디 이동 증가 → 다시 캐디피 인상이라는 시장의 수요·공급 원칙이 작동하는 것이다. “돈이 많이 나오는 곳으로 사람이 움직인다. 그건 자연스러운 수요·공급의 원리다.” – 포씨유 시선 골퍼의 반응: “돈은 올랐는데, 서비스는?” 캐디피가 오르며 서비스 전문성에 대한 기대치도 함께 상승했지만, 일부 캐디는 직무 숙련도가 부족하거나 태도 문제 등으로 고객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캐디피 17만 원은 ‘전문직 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