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가 정기연주회 ‘베르디, 레퀴엠’을 오는 3월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선보인다. 지난 2월 연주한 베토벤 교향곡 9번이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했다면, 이번 연주회는 베르디 특유의 오페라적 색채가 짙은 진혼곡을 통해 ‘안식’과 ‘마음의 평화’를 선사할 예정이다. 베르디의 오페라적 감성이 담긴 장엄한 진혼곡 ‘나부코’, ‘라 트라비아타’ 등으로 오페라의 거장으로 자리매김한 베르디는 진혼곡에서도 오페라적 특징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그의 레퀴엠은 낭만시대 가장 극적인 진혼곡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특히 웅장한 합창과 드라마틱한 구성이 돋보인다. 베르디는 전통적인 가톨릭 레퀴엠 형식에서 벗어나 총 10개의 세부 악장을 도입해 더욱 극적인 연출을 시도했다. 그중에서도 2악장 ‘진노의 날’(Dies irae)은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곡으로, 세상의 종말을 묘사하는 폭발적인 관현악과 합창이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베르디의 극적 감각이 빛나는 이 작품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연주로 만나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은다. 베르디의 레퀴엠은 단순한 진혼곡을 넘어 삶과 죽음의 교차점에서 가장 오페라적이면서도 훌륭한 작품이라는 평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는 정기연주회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무대에 올린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2025 시즌의 주요 키워드인 ‘새로운 기원’을 위한 첫걸음으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선택했다. ‘전통’을 기반으로 ‘혁신’을 이룬 작품이자 ‘통합’의 상징이 된 베토벤의 작품으로, 새로운 미래를 위한 시작점을 잇는다.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은 ‘혁신’의 상징이다. 가사에 의존하지 않는 순수 기악음악의 정점을 이룬 베토벤은 거기에 그치지 않고, 독창과 합창을 도입하며 가사를 뛰어넘는 음악의 극적 효과를 교향곡에 이뤄냈다. 또한 만인이 서로를 용서하고 진정으로 형제가 된다는 ‘환희의 송가’ 가사는 통합의 상징으로 인류의 역사에 함께해왔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를 기념해 연주됐으며, 1985년 유럽연합의 공식 국가로 채택되며 인류를 하나로 묶었다. 특히 그 누구보다 인간의 자유와 자유의 실현을 통한 존엄성을 강조했던 실러의 가사는 희망과 화합의 힘을 일깨워준다. 극음악에서 쌓아온 국립심포니의 독보적인 정체성과 내공은 공연을 더욱 기대하게 한다. 인성(人聲)과 관현악을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1월 9일(목)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2025 신년음악회’를 개최한다. 올해 신년음악회에는 케이-클래식의 미래를 이끌 청년예술인들을 주축으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합창단이 함께한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2024년 귀도 칸텔리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한 젊은 지휘자 송민규의 지휘로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4악장, 아티 쇼의 클라리넷 협주곡,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2번 3악장을 선보인다. 2023년 파리국립오페라오케스트라 종신 수석 단원으로 입단한 클라리넷 연주자 김한, 2024년 지나 바카우어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피아노 연주자 선율이 협연자로 나선다. 특히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 국립합창단의 청년교육단원 28명이 함께한다. 이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성악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무대들이 관객을 맞이한다. 2014년 퀸엘리자베스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국내외 주요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소프라노 황수미가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중 ‘보석의 노래’와 아리랑 선율을 재해석한 ‘아라리요’(작사 이승민, 작곡 이지수)를 국립심포니와 함께 선보인다. 국립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