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부터 현재 운영중인 아동급식지원플랫폼(씨앗밥상)에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한다고 1일 밝혔다. 결식아동 단체급식의 질과 급식지원 사업의 전반적인 투명성을 높이는 동시에, 급식지원 업무의 혁신, 보조금 관리 효율화 등 아동급식지원사업 여러 분야에서 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 행정업무 혁신으로 보조금 관리와 예산 집행 효율성이 올라간다. 기존 보조금 수기 정산과 관리는 지역아동센터와 시군 담당자 업무부담을 가중시키고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AI 기반 시스템은 급식재료 구매 영수증 인식은 물론 구매내역 분석과 이상거래 탐지, 지출 증빙, 센터 출결시스템과 연계한 식수인원 확인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고, 불용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예산 예측도 제공해 예산 집행의 정확성을 높인다.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던 아동급식카드 부정사용도 획기적으로 줄인다. 기존 심야시간 거래, 아동이 이용하기 부적합한 가맹점에서의 사용 등은 그동안 신고에 의존하거나, 담당자의 의심내역 추출 후 확인을 통해서만 관리될 수 있었다. 앞으로는
학교 수업 시간표처럼 사람의 인생에도 순서와 절차를 따른 일정을 적용할 수 있을까? 굳이 이 책을 읽어보지 않더라도 초등학교 취학부터 고등학교 졸업까지는 누구나 비슷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쉽사리 예측할 수 있겠다. 자, 그러면 첫사랑을 만나고 대학을 졸업하고 첫 직장에 취업하고 인생 처음 자동차를 구매하고, 결혼과 출산, 첫 주택을 구매하는 시기 등 점점 수많은 변수가 더해지는 인생의 시간표를 작성해보면 어떨까? 궁금해져서 묻는 말이기는 하지만 과연 과거에 누구라도 이런 시도를 해 보기는 했을까?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얘기를 꺼내어 타인에게 드러내는 동시에 이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알고 싶어 한다. 나의 존재를 알리고 싶은 만큼이나 나에 대한 타인의 생각도 궁금한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컴퓨터가 문명의 이기로 자리 잡으면서 직접 사람과 사람이 만나야 상당 부분 해결되던 자신을 알리고 타인을 알아내는 이 과정이 더 복잡하고 어려워진 것 같다. 직접 자신을 드러내지 않을 수 있는 인터넷상의 익명성이 이러한 직접적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더욱이 정보의 양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진위를 판별하기부터 쉽지 않게 되었다. 이런 현상을 생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