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인력공단과 EBS는 11월 30일과 12월 7일, 특집 다큐멘터리 '직업대학 미래학과'를 제작해 방영한다고 밝혔다. '직업대학 미래학과' 다큐멘터리는 대중문화 산업부터 농업까지 전반적인 산업군에서 새롭게 등장한 인공지능(AI) 기술과 직업에 대해 탐색한다. 분야별 전문가들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대응 전략을 찾고, 미래에 적응하기 위한 이정표를 제시할 예정이다. 다큐멘터리는 1부 '딥보이스(새로운 형태의 직업을 탄생시키다)'와 2부 'AI로봇(인간의 식탁을 책임지다)'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음성합성 기술인 '딥보이스(딥러닝과 목소리의 합성어)'가 만드는 새로운 형태의 직업에 대해서 알아본다. 먼저 대중문화 산업의 새로운 반향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AI 아이돌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뉴스를 선보이는 AI 아나운서, 그리고 범죄에 이용되는 AI를 잡는 AI 수사까지 AI를 중심으로 직업군의 변화를 살펴본다. 2부에서는 코로나 이후 인력난이 심각해진 외식업계 및 농촌을 중심으로 도입이 꾸준히 늘고 있는 로봇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AI로봇이 인간의 식탁을 책임지는 현상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특집 다큐멘터리 '직업대학 미래학과' 1
한국고용정보원은 디지털 전환(자동화 및 AI)이 한국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전환(자동화 및 AI)이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사업체 조사)> 저자는 디지털 전환으로 영향을 미치는 산업 및 인력수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20개 업종 1,700개 사업체와 업계 전문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주요 결과, 디지털 혁신·전환 및 활용 목적은 제조업의 경우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서비스업의 경우 업무 편의성 개선 및 소비자의 편익 증진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디지털 전환 기술은 인공지능(AI)으로 나타났으며 ‘AI 기술을 도입해 현재 활용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비중은 18.3%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전환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고 활용된다면 고용 규모 변화는 향후 5년 뒤 8.5% 감소, 10년 뒤 13.9% 감소할 것으로 응답되어 노동력 부족을 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 전환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산업별로는 음식숙박업(‘28년, -14.7%), 운수·물류업(’35년, -21.9%)에서
챗GPT가 날로 발전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생성형 AI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생성형 AI, 인공지능으로 만든 글, 그림, 이미지, 음악, 동영상, 영호 등 다양한 컨텐츠들이 무수하게 나오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가 항상 염려하고 있는 것이 바로 저작권에 관한 문제다. 사람이 만든 컨텐츠라면 당연하게 저작권이 성립되어 무단으로 이를 사용하거나, 2차 저작물을 만들어 낼 수 없다. 이렇게 하는 행위 자체가 저작권법 위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서 컨텐츠를 만들었다면, 이 행위에도 저작권을 부여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강석원, 이하 위원회)와 함께 11월 4일(월)부터 12월 6일(금)까지 위원회 누리집(www.copyright.or.kr)을 통해 인공지능 저작권 제도 개선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인공지능 저작권에 대한 국민의 높은 관심 반영,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 제시 지난해 12월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 조사 결과, 국민은 우려되는 디지털 쟁점 분야(복수 응답)로 ‘인공지능 저작물 이용범위(39.7%)’와 ‘인공지능 생성물의 저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