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팅한 볼이 홀 컵 끝에 걸쳐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2. 집어 올린다. 3. 살짝 움직여서 집어 넣는다. 이러한 일이 2023년 PGA 챔피언쉽 3라운드에서 발생했습니다. 리 호지(Lee Hodges) 17번홀(파4)에서 6미터 파 세이브 퍼팅을 했습니다. 볼은 홀 컵을 향해서 아주 잘 가고 있는데, 지난 비로 인해서 글쎄 홀 컵 모서리에 딱 멈춰 버렸습니다. 리 호지 선수를 어떻게 했을까요? 호지 선수는 볼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자고 했고, 기다렸던 보람이 있었던 지 홀 컵 끝에 걸쳐 있던 볼이 홀 컵으로 떨어졌습니다. 그대로 카메라에 볼이 떨어지는 모습이 잡혔죠! 호지 선수의 볼이 중력에 의해서 홀 컵에 떨어졌는데, 호지 선수의 스코어는 파가 아니라 보기로 변했습니다. 그 이유는 골프 룰 13.3항 홀에 거쳐 있는 볼에 대한 규칙 때문입니다. 규칙 13.3a 플레이어의 볼의 일부라도 홀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경우 그 볼이 홀 안으로 떨어지는지 지켜보기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10초)이 더 허용된다. 호지 선수의 볼이 홀 컵으로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30초가 조금 넘었습니다. 그래서
골프 룰 10은 '스트로크의 준비와 실행; 어드바이스와 도움; 캐디'에 관한 것이다. 10.3c항에 '캐디의 행동과 캐디의 규칙 위반에 대한 책임은 플레이어에게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거리측정기 사용에 관한 골프 룰을 보면, 룰 4.3항에 조건이 충족된 한도 내에서 거리측정기 사용을 허용하고 있지만, 위원회 절차 섹션 8; 로컬 룰 모델 G-5에 위원회는 거리측정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로컬 룰을 채택할 수 있다. 미국여자프로골프(이하 LPGA) 투어는 2021년부터 경기 중 거리측정기 사용을 전면 허용하고 있지만, 미국골프협회(USGA)가 주관하고 있는 US오픈과 US여자오픈에서는 거리측정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현재 미국 페블 비치에서 2라운드가 진행되고 있는 제78회 US여자오픈(총상금 1100만달러)에서 LPGA 신인 나타끄리타 웡타위랍(Natthakritta Vongtaveelap, 20, 태국)이 1라운드 5번째 홀에서 캐디 실수로 실격처리 되었다. 김진섭(Jinsup Kim) 캐디가 라운드 도중 여러 차례 거리 측정기를 사용해서 골프 룰을 위반했고, 캐디의 룰 위반에 대해 나타끄리타 웡타위랍이 첫 위반에 대해 일반페널티(스트로크 플레이에서 2벌
2019년 골프 룰이 바뀐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플레이 속도 향상'이다. 플레이어가 부당하게 경기 시간을 지연하면 이에 따른 페널티가 주어진다. 플레이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알앤에이가 정한 규칙은 플레이에 관련된 시간과 순서와 관계없이 플레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룰 6.4 홀을 플레이할 때 플레이 순서 티잉구역에서의 플레이 순서는 누가 오너를 가졌는가에 따라 정해지고, 그 이후에는 홀에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순서대로 플레이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에 페널티는 없지만, 상대방이 순서를 지키지 않은 플레이어의 스토로크를 취소시킬 수 있다. 단,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순서와 관계없이 플레이할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을 두고 있다.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2일까지 스페인 안달루시아(레알 클럽 발데라마)에서 열린 리브(LIV) 골프 2023시즌 8차 대회에서 사소하지만 의미있는 페널티가 발생했다. 2라운드 8번홀(샷건 방식으로 라운드중 4번째 홀)에서 리차드 블랜드(Richard Bland)와 딘 번메스터(Dean Burmester), 써지오 가르시아(Sergio Garcia)가 규칙 위반에 대한 경고를 받았고,
[골프앤포스트=박청하 기자] 내년부터 골프 경기중 손상된 클럽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구제를 받은 공이 자연의 힘으로 다시 페널티 구역에 들어간다면 추가 벌타를 받지 않는다. 세계 골프 규칙을 제정하는 미국골프협회(USGA)와 영국 R&A는 올해부터 적용되는 골프규칙을 지난달 발표했는데, 대한골프협회(KGA)는 지난 30일 2023년판 새 골프규칙 한글본 초안을 발표하고 새해에 선수들에게 배포한 뒤 오는 의견수렴을 하기로 했다. 4년 마다 발표되는 골프룰 개정에서 올해는 2019년의 대대적인 변화를 보완하는 수준으로 이뤄졌다. 그중 골프팬들이 눈여겨볼 변화로는 라운드중 고의가 아닌 클럽손상의 경우 이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허용했다는 점이다. 또한 구제를 받아 드롭하거나 리플레이스한 공이 저절로 움직여 다시 페널티 지역으로 굴러들어갈 경우 벌타를 더하지 않고 다시 공의 위치를 정할 수 있게 했다. 2019년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피닉스 오픈 당시 리키 파울러(미국)가 페널티 구역에 빠진 뒤 벌타를 받고 드롭후 다음 샷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이 다시 물 속으로 굴러들어간 장면에서 추가 벌타를 받았던 일이 이번 개정의 계기가 됐다. KG
[골프앤포스트=구재회 기자] 2023년부터는 경기 도중 손상된 클럽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골프 규칙이 바뀐다. 세계 골프 규칙을 제정하는 미국골프협회(USGA)와 영국 R&A는 20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될 새로운 골프 규칙을 8일 발표했다. 먼저 라운드 도중 손상된 클럽을 예전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교체할 수 없었지만 새로 바뀌는 규칙에 의하면 클럽을 고의로 손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수가 손상된 클럽을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교체 과정에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돼서는 안 된다. 2019년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노던 트러스트에서 드라이버가 손상됐지만 교체할 수 없었던 웨브 심프슨(미국)이 새 규정에서는 드라이버를 바꿔 쓸 수 있게 된다. 또 드롭한 공이나 리플레이스한 공이 저절로 움직여 페널티 지역으로 다시 들어갈 경우 벌타 없이 다시 공의 위치를 정할 수 있게 했다. 2019년 PGA 투어 피닉스 오픈에서 리키 파울러(미국)는 칩샷 한 공이 굴러 물속으로 빠졌고, 이 공을 드롭한 뒤 다음 샷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이 저절로 움직여 다시 페널티 지역에 들어갔다. 당시 파울러는 또 벌타를 받았지만, 새로 규정되는 규
[골프앤포스트=구재회 기자]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20일 DB그룹 제36회 한국여자오픈선수권대회에 참가해 물의를 빚은 윤이나(19)에 대해 3년간 KLPGA 주관 또는 주최 모든 대회 출장 정지 징계를 내렸다. KLPGA는 이날 윤이나에 대한 상벌분과위원회를 열고 징계 심의를 한 결과 상벌분과위원회 규정 제3장(징계) 제15조(징계기준) 제3항(출장정지)에 근거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조항은 비신사적인 행위를 했을 경우와 각종 대회에서 불미스러운 행위를 했을 경우에 적용된다. 이에 따라 윤이나는 앞으로 3년간 KLPGA가 주관 또는 주최하는 모든 대회(투어·시드전·선발전)에 나올 수 없게 됐다. KLPGA 상벌분과위원회는 "윤이나의 자진 신고 등 정상 참작의 사유가 있었으나 규칙 위반 후 장기간에 걸쳐 위반 사실을 알리지 않은 점과 규칙 위반 이후 대회에 지속해서 참여한 사실 등 심각한 부정행위를 했다고 판단했다"며 "앞으로도 이와 유사한 부정행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윤이나는 올해 6월 한국여자오픈 1라운드 도중 골프 규칙을 위반했다. 15번 홀 티샷이 우측으로 밀렸고, 이 공을 러프에서 찾아 경기를 진행했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