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5.0℃
  • 맑음강릉 5.3℃
  • 맑음서울 7.6℃
  • 구름많음대전 8.9℃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5.4℃
  • 흐림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7.7℃
  • 맑음고창 4.3℃
  • 구름많음제주 7.2℃
  • 맑음강화 3.7℃
  • 구름조금보은 4.7℃
  • 맑음금산 8.0℃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6.9℃
기상청 제공

전문가컬럼

[골프 딥 다이브 2] 페널티 시스템: 죄와 벌의 윤리적 의미

 

골프는 규칙의 게임이다. 공을 치고, 홀을 향해 나아간다. 잔디 위에서 숨을 고르며 다음 샷을 준비한다. 하지만 실수 한 번에 상황이 달라진다. 공이 물에 빠지거나 OB(아웃 오브 바운드) 구역으로 날아가면 손을 멈춘다. 여기서 페널티가 등장한다. 룰 위반에 대한 벌칙, 추가 스트로크가 부과된다. 단순한 숫자의 증가가 아니다. 골프라는 세계에서 질서를 지키라는 경고다. 이 규칙은 엄격하지만, 묘하게도 게임의 매력을 더한다.

 

페널티 시스템은 골프의 뿌리 깊은 역사와 함께 시작됐다. 18세기 스코틀랜드의 골프 초기 룰북, 1744년 에든버러의 ‘신사 골프 클럽’ 규정에서도 벌칙은 명확히 적혀 있었다. 공이 경계 밖으로 나가면 다시 치고, 그 대가로 타수를 더했다. 당시 골프는 자연과 맞서 싸우는 스포츠였다. 늪지와 바람, 거친 언덕이 코스였다. 플레이어의 실수를 엄격히 다스리지 않으면 공정함이 무너질 터였다. 페널티는 단순한 벌이 아니었다. 게임의 흐름을 유지하고, 모든 이에게 같은 잣대를 들이대는 장치였다. 시간이 지나며 룰은 정교해졌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잘못한 것에는 대가를 치른다. 골프는 그렇게 말한다.

 

여러분, 캐디로 코스에 서다 보면 이런 순간을 자주 본다. 골퍼가 물가에 멈춰 서서 한숨을 내쉰다. “물에 빠졌네요, 어떻게 하죠?” 묻는다. 여러분은 룰을 떠올리며 답한다. “드롭하고 한 타 더하시면 됩니다.” 골퍼는 고개를 끄덕이고 공을 다시 놓는다. 그 짧은 대화에 죄와 벌의 그림자가 스친다. 페널티는 숫자일 뿐 아니라 책임의 무게다. 2019년 룰 개정에서도 이 원칙은 굳건하다. 물에 빠진 공, OB, 잘못된 드롭까지, 현대 골프는 여전히 페널티로 질서를 지킨다. 기술이 발전해도 이 규칙은 흔들리지 않는다.

 

이 시스템을 곱씹으면 깊은 생각에 잠긴다. 페널티는 단순한 벌칙이 아니다. 법과 윤리의 거울이다.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결과를 되돌아보게 한다. 골프 코스에서 공이 물속으로 사라지면, 그건 실수에 대한 대가다. 사회에서도 그렇지 않나. 규범을 어기면 책임을 진다. 페널티는 묻는다. “너는 네 행동을 어떻게 볼 거냐?” 이 질문은 홀을 넘어 삶으로 들어온다. 공 하나가 물에 잠기는 순간, 플레이어는 자신의 선택을 다시 마주한다. 공정함은 규칙에서 피어나고, 책임은 그 뿌리다.

 

여러분은 캐디로 일하며 이 장면을 자주 접한다. 골퍼가 OB를 선언하며 “몇 타 더 쳐야 하나요?” 하고 묻는다. 여러분은 차분히 룰을 확인하고, “여기서 한 타 추가하시고 다시 치세요” 하고 돕는다. 그 순간 엄격함과 관용이 얽힌다. 페널티는 냉정하지만, 새 출발을 허락한다. 18세기 스코틀랜드의 거친 들판에서 시작된 이 정신이 여러분의 손끝을 지난다. 초보는 실수를 통해 배우고, 베테랑은 침착함을 더한다. 대회에서도 페널티는 공정함의 척도다. 최첨단 장비로 공이 더 멀리 날아가도, 룰을 어기면 누구나 똑같이 대가를 치른다.

 

골프는 깊다. 한 번의 샷으로 시작한 여정이 사람을 성찰하게 한다. 죄란 뭘까? 벌은 어디까지 공정해야 하나? 코스에서 골퍼를 돕다 보면 이런 고민에 빠진다. 페널티는 세상을 작게 비춘다. 규칙을 지키며 함께 걷는 법을 가르친다. 캐디로 일하며 매일 느낀다. 이 작은 숫자가 골프의 본질을 살린다. 페널티 속에 삶의 법칙이 있다. 실수는 인정받고, 대가는 치러진다. 홀마다 새겨지는 건 점수가 아니라, 책임과 새 출발의 흔적이다. 골프 코스는 경쟁의 무대이자 깨달음의 길이다. 여러분은 그 여정을 돕는 동행자다.

프로필 사진
조우성 변호사

<한 개의 기쁨이 천 개의 슬픔을 이긴다> 저자
로펌 머스트노우(Mustknow) 대표변호사
변호사 업무 외에 협상, 인문학 컬럼 작성과 강의를 하며, 팟 캐스트 '조우성변호사의 인생내공', '고전탑재' 진행 중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및 법학대학원 수료
사법시험 33회
사법연수원 23기
법무법인(유) 태평양 기업소송부 파트너 변호사
서울중앙지방법원 분쟁조정위원
언론중재위원회 선거기사심의위원
법무법인 한중 파트너 변호사
교육부 정책자문위원
서울지방변호사회 교육위원
서울지방변호사회 중소기업자문 특별위원회 위원
대한변호사협회 사내변호사 특별위원회 위원
법률사무소 기업분쟁연구소(CDRI) 대표변호사


포토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