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 등을 대응하기 위해 건의해 온 격렬비열도 국가항만 건설이 7년 여만에 결실을 맺었다. 충청남도는 해양수산부가 지난 1일자로 격렬비열도항을 항만기본계획에 반영・고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격렬비열도 개발을 본격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설계비 21억원이 2026년 정부(안)에 최종 반영됐다. 충청남도와 해수부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국비 478억원을 투입해 접안시설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해의 독도로 불리는 격렬비열도는 충남 최서단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 고파도・심해・풍랑 등 열악한 자연환경에도 불구하고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과 해상사고 대응을 위한 국가관리 연안항 지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충청남도는 2017년부터 국가관리 연안항 지정 타당성 논리 개발을 시작으로, 2018년 6월부터 국가관리 연안항 지정과 국비 예산 반영을 지속 건의했다. 이러한 충청남도의 노력은 2022년 7월 국가관리 연안항 지정, 올해 6월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고시에 이어 이번에 해수부 항만기본계획에 반영・고시되는 성과로 나타났다. 이번 사업은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북격렬비도 일원에 위치한 격렬비열
서울시가 발간한 정책 커스텀북 『서울 플레이북 365』가 출간100일을 맞았다. 출간 직후 화제를 모은 이 책은, 발행된지 100일이 지났음에도 교보문고·예스24·알라딘 등 주요 온라인 서점에서 Top 100순위권을 유지했으며, 국내여행(서울/수도권) 분야에서는 베스트셀러1위로 많은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2025년 5월 27일 발행/2025년 9월 1일 기준) 「서울 플레이북 365」는 단순한 정책 안내를 넘어, 시민이 자신의 취향에 따라 직접 정책을 조립하고 체험하는 ‘정책커스텀북’이다. 정책을 테마별로 구성하고, 플레이어 유형 테스트·숨은그림찾기·계절 큐레이션 등 다양한 참여형 요소를 담아 정책과 시민 사이에 ‘경험’의 접점을 만든 것이 호평의 이유다. 특히 공공기관 간행물이 14주 이상 장기 베스트셀러 순위에오르는것은 이례적이며, 이는 시민 중심으로 기획된 새로운 정책 콘텐츠의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평가된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 플레이북 365』의 연속선상에서, 오는10월경 페어링북 형태의 후속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서울 플레이북365』가 서울의 정책과 도시 매력을 큐레이션한 책이었다면, 신간은“도시가 전하는 다정한 응원”을 주제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인 USDT(테더)가 글로벌 송금·결제 수단으로 자리잡으며 ‘디지털 달러’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발행사의 신뢰성과 규제 리스크는 여전히 시장의 불안 요소로 남아 있다. 1. USDT란 무엇인가? - Tether Limited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 1 USDT = 1 USD를 목표로 설계되어 가격 변동성이 거의 없는 디지털 자산 - Ethereum(ERC-20), Tron(TRC-20), Solana 등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유통 2. USDT의 핵심 특징 항목 설명 가치 안정성 달러와 1:1 연동(Pegged), 변동성 낮음 높은 유동성 대부분의 거래소에서 사용 가능, 거래량 최상위 송금·결제 용이 빠른 전송, 낮은 수수료(특히 TRC-20 기반) 다양한 활용 거래소 간 자금 이동, 국제 송금, 온라인 결제, P2P 거래 블록체인 기반 이더리움·트론·솔라나 등에서 발행, 네트워크별 수수료 차이 존재 3. 글로벌 활용 사례 - 국제 송금: 몇 분 내 완료, 은행보다 수수료 저렴 - 온라인 결제: 일부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