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일)

  • 구름많음동두천 7.6℃
  • 구름많음강릉 8.6℃
  • 서울 4.7℃
  • 구름많음대전 8.3℃
  • 구름조금대구 10.3℃
  • 구름많음울산 8.7℃
  • 구름많음광주 8.6℃
  • 흐림부산 9.4℃
  • 구름많음고창 7.1℃
  • 구름많음제주 9.3℃
  • 구름많음강화 8.1℃
  • 구름많음보은 6.7℃
  • 구름많음금산 8.1℃
  • 구름많음강진군 9.7℃
  • 구름많음경주시 10.1℃
  • 구름많음거제 7.7℃
기상청 제공

문화/레저

[상산 스토리 52] 토사구팽

필요할 때 요긴하게 사용하다가 필요 없어지면 가차 없이 버린다는 뜻
'팽 당하다'

'토사구팽'은 중국을 통일한 유방이 전쟁 영웅 한신을 잡아 들이자, 한신이 한탄하면서 아래와 같은 말을 했기 때문에 '토사구팽'이 한신으로부터 유래했다고 알기 쉽다. 역사적으로 보면 한신보다 더 이전 세대 사람이었던 춘추시대 월나라의 군사 범려의 말에서 유래했다.

 

오나라를 평정한 월나라 왕인 구천은 평소 모든 것을 자신의 공으로 돌리고 싶어하는 성격이기 때문에 신하인 구천이 전쟁이 끝난 후 범려를 포함한 전쟁공신을 죽일 것을 미리 예측한 범려가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권한 것에서 나온 말이다.

 

교토사양구팽(狡兎死良狗烹) 교활(狡猾)한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좋은 사냥개도 삶아 먹고,

비조진양궁장(⾶⿃盡良⼸藏) 하늘을 나는 새를 다 잡고 나니 좋은 활도 구석에 처박히며,

적국파모신망(敵國破謀⾂亡) 적국(敵國)을 깨고 나면 지혜(智慧)로운 신하(⾂下)가 죽는다더니

천하이정 아고팽망(天下已定 我固當烹) 천하(天下)가 평정(平定)되고 나니 나도 마땅히 삶아지는구나.

 

 

프로필 사진
尙汕 김준태

대한민국미술협회 초대작가(문인화부문)
대한민국 미술대전(국전) 심사위원장 역임
강원도전, 경기도전 심사위원장 역임
뮌헨박물관, 함부르크박물관 작품소장
뉴욕, 동경, 북경 초대전
문인화 명예박사(동양학 사이버대학)
시집: 한손에 잔을 들고 한손에 붓을 잡고, 묵향의 오솔길
TICTOK: @mastersangsan
Mobile: 010-4311-1903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포토이슈